
올해 분양한 아파트 중 분양가상한제 적용 단지의 청약 경쟁률이 일반 단지보다 6배 가량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분양가 상한제가 적용된 단지는 주변 시세보다 낮은 수준에 공급돼 입주 후 시세차익을 기대할 수 있는 만큼 청약 수요가 몰린 것으로 분석된다.
18일 부동산 플랫폼 ‘직방’에 따르면 올해 청약에 나선 72개 단지 가운데, 분양가상한제(분상제)가 적용된 22개 단지는 평균 경쟁률 26.2대 1을 기록했다. 미적용 된 50개 단지의 평균 경쟁률은 4.0대 1에 그쳐 약 6배의 격차를 보였다.
서울은 래미안원페를라와 고덕강일대성베르힐이 청약에 나서며, 평균 1순위 경쟁률 122.5대 1로 전국에서 가장 높은 경쟁률을 보였다.
방배6구역을 재건축한 래미안원페를라(151.6대 1)는 청약 당시 인근 시세 대비 30% 이상 낮은 분양가로 평가받았고, 강남권 입지에 따른 프리미엄 기대감이 더해지며 수요자들의 높은 관심을 받았다.
고덕강일대성베르힐은 강일 택지지구 내 마지막 민간분양단지로, 실거주 5년 의무 조건이 적용됐음에도 평균 97.4대 1의 경쟁률을 보이며 높은 인기를 입증했다.
충북은 109.7대 1의 경쟁률을 나타냈다. 청주테크노폴리스 내 마지막 분양 단지인 청주테크노폴리스아테라2차가 공급되며 높은 경쟁률을 기록했다.
뒤이어 울산이 44.4대 1, 경기 23.7대 1, 세종 12대 1로 보였고 부산은 0.3대 1를 나타냈다.
단지별 1순위 청약경쟁률을 보면, 경쟁률이 가장 높았던 단지는 교산푸르지오더퍼스트다. 하남시 교산지구에 위치한 교산푸르지오더퍼스트는 201세대 공급에 5만2920명이 몰리며 263.3대 1의 청약경쟁률을 나타냈다. 해당 단지는 경기도 하남시에 속해 있으나 서울 송파구와 인접해 서울 생활권 이용이 쉽고 전용 59㎡ 기준 5억원 대로 공급돼 수요자들의 관심이 높았다.
이어 래미안원페를라(151.6대 1), 청주테크노폴리스아테라2차(109.7대 1), 고덕강일대성베르힐(97.4대 1), 고양창릉 S-5블록(96대 1) 순으로 경쟁률이 높았다.
분상제는 공공택지 등 일정 요건을 갖춘 지역에서 공급되는 주택의 분양가를 정부가 정한 산정 기준 이하로 제한하는 제도다. 분상제가 적용되면 주변 시세보다 낮은 수준으로 분양가가 책정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입주 후 시세차익을 기대할 수 있다. 일부 단지에서는 수억 원대 차익이 발생하며 소위 '로또 청약'이라는 표현이 붙기도 했다.
또 아파트 공급 감소로 신축 아파트의 희소성이 커지면서 주변 시세보다 저렴한 분상제 적용 단지에 대한 수요자들의 관심이 더 집중되며 높은 경쟁률을 보였던 것으로 분석된다.
다만 분상제가 적용됐음에도 부천, 양주 등에 소재한 일부 단지들의 경우 1대 1을 밑도는 저조한 성적을 보였다. 가격 경쟁력뿐만 아니라 입지 조건과 지역 수요, 생활 인프라 등 복합적인 요인이 청약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풀이된다.
분상제가 적용되지 않은 단지 중에서도 높은 경쟁률을 보인 단지도 있다. 기자촌지구를 재개발한 전주더샵라비온드는 총 2226세대의 전북 최대 규모 단지로 1순위 평균 26.1대 1의 경쟁률을 보이며 올해 분상제 미적용 단지 중 가장 높은 경쟁률을 나타냈다.
이외에도 e편한세상성성호수공원(17.5대 1), 청계노르웨이숲(16.9대 1), 고척푸르지오힐스테이트(13.5대 1), 힐스테이트메디알레(11.0대 1) 등 단지들도 두 자릿수 경쟁률을 기록하며 준수한 청약 성적을 나타냈다.
직방 관계자는 "앞으로는 규제 영향과 가격 조건에 따라 청약 수요가 더욱 선별적으로 움직이는 흐름이 뚜렷해질 것"이라며 "입지·상품성·분양가가 균형을 이루는 단지에는 실수요자의 관심이 꾸준히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