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슈가 표적 단백질분해(TPD)에 필요한 분자접착제(MG) 기술을 확보하고 있다.
21일(현지 시간) 미국 바이오 전문지인 피어스 바이오텍은 스위스 제약사 로슈의 자회사인 제넨텍이 MG 기술을 보유한 미 바이오사 오리오니스 바이오사이언스에 선불금 1억500만달러(약 1450억원)을 지급했다고 보도했다.
앞서 2023년 양사는 최대 20억달러(약 2조7594억원) 규모의 기술 제휴 계약을 체결했다. 오리오니스는 항암제 후보물질 개발·상업화·판매에 따라 단계별성과금을 더 받을 수 있다. 신약이 출시되면 로열티(사용료) 수익 확보도 가능하다.

TPD 치료제는 화합 물질의 구조에 의해 크게 2가(bivalent) 형태의 단백질분해제(프로탁)와 1가(monovalent) 형태의 MG로 구분된다. 1가 구조가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아 약물이 유전체(생명의 유전정보를 담은 유전자 전체)를 표적화하는 능력이 더 우수하다.
오리오니스는 저분자 1가 접착제를 설계·발굴하고 초기 개발을 맡는다. 이후 로슈의 자회사인 제넨텍이 전임상(동물 실험)과 임상, 상업화를 이어받는다.
MD는 보통 암을 유발하는 단백질과 E3리가아제(Ligase)로 불리는 효소를 서로 부착한다. 이 때 효소가 암 유발 단백질에 특정 단백질을 제거하라는 표식인 유비퀴틴을 붙인다. ‘이건 나쁜 단백질’이라고 표식을 붙여두는 셈이다. 단백질분해 기능이 있는 프로테아솜이 이를 보고 단백질을 분쇄기에 넣듯이 분해한다.
오리오니스는 단백질 간 상호작용을 유도하는 분자 구조를 디자인하는 기술을 갖고 있다. 이는 프로탁 기술과 비슷한 유도 근접성(CIP∙특정 분자나 단백질을 가까이 둬 기능이나 상호작용을 바꾸는 힘을 활용하는 생물학적, 치료적 전략) 개념에 기반한다. 단백질을 분해 없이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니코 클리 오리오니스 최고경영자(CEO)는 “제넨텍과의 협력으로 MG 플랫폼의 확장 가능성을 입증했다”며 “이는 접근이 힘든 암 표적에 접근할 수 있는 강력한 수단이 될 것”이라고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