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마존웹서비스(AWS)의 클라우드 기반 양자컴퓨팅 플랫폼 '아마존 브라켓'이 대전지역  대학, 연구기관, 기업 등에 본격 도입된다. 

16일 대전시에 따르면 아마존웹서비스와 '양자산업 활성화 및 국내 기업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대전시는 아마존웹서비스와 16일 시청 회의실에서 '양자산업 활성화 및 국내 기업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출처=대전시
대전시는 아마존웹서비스와 16일 시청 회의실에서 '양자산업 활성화 및 국내 기업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출처=대전시

이날 협약식에서 양측은 양자기술 실증을 비롯해 산업화 지원, 인재양성, 글로벌 연계 등 전 주기 협력체계 구축에 합의했다.

시는 지역내 인력, 출연기관, 연구산업단지 기업을 포함한 기존 양자 인프라에 AWS의 글로벌 플랫폼을 제공해 양자기술 실증, 전환, 확산에 이르는 전 주기 생태계를 구현한다는 전략이다.

또  AWS의 양자 컴퓨팅 기업지원 프로그램 '퀀텀 엠바크'와 연계해 지역 중소기업 대상 맞춤형 컨설팅과 클라우드 기반 실증환경을 제공하는 공동 지원사업도 추진된다.

윤정원 AWS 코리아 공공부문 대표는 "대전시와 협력해 한국의 양자기술 혁신을 가속화하게 돼 기쁘다"며 "아마존 브라켓을 통해 지역 연구자와 기업들이 글로벌 양자 하드웨어에 쉽게 접근할 수 있어 글로벌 허브 도약에 기여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장우 대전시장도 "'세계 양자과학기술의 해' 시기에 맞춰 글로벌 선도기업 AWS와 협력의 첫 걸음을 내딛게 된 것을 뜻깊게 생각한다"며 "이번 협약은 기술제휴를 넘어 대전이 양자산업의 글로벌 허브로 발돋움하는 출발점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