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어프레미아가 기존 중국 S&A(Sea and Air) 물량 중심의 판매 구조에서 탈피해 의약품, 기업물류, 신선식품 등 고수익 특수 화물 분야로 사업 영역을 확장하는 전략적 전환을 추진한다고 9일 밝혔다.
에어프레미아는 양대 FSL(대한항공·아시아나항공)을 제외한 국내 항공사 중 유일하게 의약품 수송을 실시한 항공사다. 지난 4월말에는 국제 의약품 항공 운송 표준인증인 'CEIV Pharma' 기준을 준수한 의약품 수송을 성공적으로 완료했으며 현재 CEIV Pharma와 CEIV Fresh(신선식품) 정식 인증 취득을 추진 중이다.
화물 포트폴리오 다각화 성과도 가시화되고 있다. 올해 4월 기준 미국행 화물 구성에서 C커머스 물량은 85% 가량에서 50.9%로 크게 감소한 반면 고부가가치 물량(휴대폰, 자동차부품 등)은 29%, 의약품 등 특수화물은 5.2%, 신선식품은 3.3%, 미주 커머스 물량은 9.5%를 차지했다. 화물 다변화 전략이 실질적 성과로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사업 확장에 맞춰 조직 개편도 실시했다. 지난해 하반기 전면적 조직 개편을 통해 올해 1월부터 '화물사업팀', '화물영업팀', '화물운송팀'으로 세분화된 운영 체계를 구축했으며 글로벌 수요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인력 확충과 IT 시스템 강화도 병행하고 있다.
현재 에어프레미아는 LA, 뉴욕, 샌프란시스코, 방콕, 나리타, 다낭, 홍콩 등 7개 주요 노선을 운항 중이며, 인터라인 네트워크를 포함해 90여 개 노선에서 글로벌 화물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오는 7월 하와이 신규 취항을 통해 미주, 태평양 노선의 화물 운송 역량을 추가 확대할 계획이다.
에어프레미아 관계자는 "고부가가치 및 특수 화물 시장에서의 입지를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있다"며 "노선 전략, 조직 역량, 화물 인프라 혁신을 기반으로 지속 가능한 화물사업 모델을 구축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