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 더샵포레나 투시도  출처=포스코이앤씨
고양 더샵포레나 투시도  출처=포스코이앤씨

전국적으로 1~2인 가구가 빠르게 증가하면서, 소형 아파트가 다시 주택 시장의 중심으로 떠오르고 있다. 과거에는 중대형 아파트 위주의 분양이 주를 이뤘지만, 최근에는 전용면적 60㎡ 이하의 소형 아파트에 실수요가 몰리면서 청약 경쟁률이 높고 매매 거래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통계청이 지난해 12월 발표한 ‘장래가구추계’자료에 따르면, 오는 2027년 기준 전국의 1~2인 가구 비율은 전체 가구의 약 67.7%에 이를 것으로 전망됐다. 2022년 기준 1~2인 가구의 비율이 전체의 62.7%인 것을 감안하면 5%p 증가한 것이다. 이러한 1~2인 가구의 급증은 주거 트렌드에도 뚜렷한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넓은 면적보다 관리가 용이하고 경제성이 높은 ‘작고 알찬’ 주거 공간에 대한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다.
 

부동산R114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아파트 매매 거래량은 총 45만 635건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전용면적 60㎡ 이하의 소형 아파트는 전체의 약 39.2%를 차지했다. 이는 같은 기간 전국 소형 아파트의 공급 비중을 크게 웃도는 수치로, 공급보다 수요가 앞서는 ‘수급 불균형’ 현상이 계속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매매 시장 분위기 역시 비슷하다. 같은 단지 내에서도 소형 아파트의 매매 거래가 더욱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서울 은평구에 있는 'DMC 롯데캐슬 더 퍼스트'가 대표적이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이 단지의 전용 60㎡ 이하 소형 면적 매매 거래 건수는 중대형 거래 건수보다 더 많았다. 이에 전문가들은 소형 아파트가 단순한 트렌드를 넘어, ‘기본 수요에 충실한 상품’으로 장기적인 수요를 꾸준히 유지할 것이라고 전망한다. 신혼부부, 1인 청년가구, 은퇴세대, 고령자 등 다양한 세대에서 소형 아파트에 대한 수요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어 가격 방어력이 높다는 분석도 나온다.

포스코이앤씨 컨소시엄은 4월 고양시 덕양구 일원에 지하 3층~지상 최고 35층, 17개 동, 전용면적 39~84㎡ 규모의 '고양 더샵포레나'를 분양할 예정이다. 이 중 일부가 일반분양 물량으로 공급될 예정이고, 수요자들이 선호하는 59㎡ 타입이 전체의 약 75%를 차지한다. 여기에 단지는 초품아 단지이며 도보권에 중고등학교 등이 위치해 있다. 또한 대형 편의시설이 가까이 있고, 종합병원 접근성도 용이하다..

두산건설 컨소시엄은 경상남도 창원특례시 진해구 여좌동 일대 대야구역 재개발정비사업을 통해 ‘창원 메가시티 자이&위브’를 분양 중이다. 단지는 지하 4층~지상 37층, 17개 동 규모로 조성되며, 전용면적 54~102㎡이 일반분양된다. 이 단지의 전용 54㎡는 소형 평형임에도 방 3개와 욕실 2개로 조성돼 1인 가구는 물론, 신혼부부나 3인 가구가 살기에 적합하게 설계됐으며, 기존의 59㎡에서 보기 드물었던 대형 워크인 드레스룸이 설계돼 수납 공간이 넉넉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