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대제철 노사가 7개월간의 협상 끝에 2024년 임금 및 단체협약(임단협)을 마무리지었다.
15일 철강업계에 따르면, 현대제철 노조 5개 지회(인천·당진·순천·포항·하이스코)는 지난 10∼14일 조합원 찬반 투표를 통해 노사 잠정 합의안을 추인했다.
현대제철 노사는 지난 9일 임금 10만1000원 인상과 '기본급 450%+1050만원'의 성과금 지급 등의 협상안에 잠정 합의한 바 있다.
노사 합의 성과금은 평균 2700만원에 해당한다. 이번 잠정 합의안 가결로 현대제철은 2024년 9월부터 지지부진했던 임단협을 마무리 지었다.
이에 앞서 현대제철 노사는 지난 7개월간 성과금 문제 등으로 이견을 좁히지 못하면서 갈등을 빚었다. 사측은 기본급 10만원 인상에 '기본급의 450%+1000만원'을 성과금으로 제시했으나 노조는 현대차(기본급 500%+1800만원) 수준의성과급을 요구하며 물러서지 않았다.
회사는 2024년 영업이익이 1595억원으로 급감한 상황에서 성과급 인상은 적자로 이어진다는 입장이었다. 반면 노조는 2023년 영업이익 7983억이고 현재 경영악화를 이유로 성과금을 축소하는 것은 수용할 수 없다며 맞섰다.
결국 노조는 게릴라 파업을 시작했고 현대제철은 이에 대응해 창사 이래 첫 직장폐쇄를 단행한 데 이어 비상 경영 체제로 돌입했다. 임원 급여 20%가 삭감되고 전 사업장 대상 희망퇴직을 받은 바 있다.
다만 이번 임단협 마무리로 갈등이 봉합되며 현대제철은 본격적인 경영 정상화에 돌입할 수 있다. 미국발 철강 관세와 대미 현지 투자, 중국 덤핑 등 당면한 과제 해결을 위해 노사가 힘을 모을 시기라는 주장이 나온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