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에 34%의 추가 상호 관세를 부과하자, 중국도 강하게 맞서고 있다. 즉각적이고 전례 없는 보복 조치들을 쏟아내며 전면전이 벌어질 조짐이다.
중국 국무원은 4일 발표를 통해 오는 10일 낮 12시 1분을 기점으로 미국산 수입품 '전체'에 대해 미국과 동일한 34%의 추가 관세를 부과한다고 밝혔다. 단순한 '눈에는 눈, 이에는 이' 식의 맞대응을 넘어, 미국의 경제에 직접적인 타격을 주겠다는 강력한 의지를 드러낸 것으로 풀이된다. 5월 13일 오후 자정 이전에 수입되는 선적 화물에 대해서는 예외를 두며 갑작스러운 무역 차질에 대한 최소한의 안전장치를 마련했으나 현 상황에서는 '강대강 대치'다.
중국의 보복은 관세에만 그치지 않았다. 중국 상무부는 미국의 핵심 산업과 안보에 직결될 수 있는 민감한 제재들을 연이어 발표하며 전방위적인 압박 수위를 높였다.

먼저 중국 상무부는 미국의 주요 군수 기업 16곳을 특정하여 '이중용도 물품', 즉 군사적 용도와 민간 용도로 모두 사용 가능한 품목의 수출을 전면 금지하는 초강경 제재를 단행했다. 미국의 군사 기술 개발과 생산에 차질을 빚게 할 수 있는 직접적인 타격으로 분석된다. 구체적인 제재 대상 기업 명단은 공개되지 않았으나, 미국의 방위 산업 전반에 상당한 긴장감을 불어넣을 것으로 예상된다.
여기가 끝이 아니다. 첨단 산업의 필수 원자재인 희토류에 대한 수출 통제 조치도 발표했다. 사마륨, 가돌리늄, 테르븀, 디스프로슘, 루테튬, 스칸듐, 이트륨 등 전략적 가치가 높은 희토류 품목들의 수출을 제한하는 초강경 대응에 돌입했다. 이는 미국의 전자, 통신, 신재생 에너지, 방위 산업 등 핵심 산업 전반에 걸쳐 생산 차질과 비용 상승을 유발할 수 있어 우려가 더욱 커지고 있다. 중국은 이미 과거 유사한 상황에서 희토류 수출 통제를 '무기화'한 전례도 있다.
중국 세관 당국인 해관총서도 검역 문제를 명분으로 내세워 수수와 가금육 관련 미국 기업 6곳의 중국 수출 자격을 즉각 정지시키는 조치도 발표했다. 이는 미국의 농축산업에 직접적인 타격을 가하는 것으로, 트럼프 대통령의 주요 지지 기반인 농업계의 불만을 고조시킬 수 있는 카드로 풀이된다.
중국은 나아가 미국의 상호 관세 부과를 포함한 일련의 무역 조치들이 국제 무역 규범에 어긋난다며 세계무역기구(WTO)에 공식 제소했다. 이는 미국의 보호무역주의를 국제 사회에 고발하고, 다자주의 무역 질서를 수호하는 이미지를 구축하려는 전략이다.
한편 업계에서는 미중 패권전쟁이 다시 시작된 상황에서 당분간 불확실성이 더욱 커질 것이라 전망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의 추가 관세 부과로 촉발된 이번 사태가 예상보다 훨씬 강력하고 다각적인 중국의 보복으로 이어지면서, 미중 무역 갈등은 이제 단순한 무역 분쟁을 넘어 양국 경제는 물론 글로벌 경제 전체를 뒤흔드는 심각한 국면으로 접어들었다는 평가다.
특히 중국이 '희토류 무기'라는 강력한 카드를 꺼내 든 만큼, 향후 양국 간의 협상은 더욱 어려워질 것으로 전망된다. 글로벌 공급망 재편과 각국 경제의 불확실성 증폭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