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의전당은 ‘2025 예술의전당 교향악축제 – The New Beginning’을 4월 1일부터 20일까지 콘서트홀에서 개최한다.
예술의전당은 ‘2025 예술의전당 교향악축제 – The New Beginning’을 4월 1일부터 20일까지 콘서트홀에서 개최한다.

예술의전당은 ‘2025 예술의전당 교향악축제 – The New Beginning’을 4월 1일부터 20일까지 콘서트홀에서 개최한다. 올해 축제는 공식 명칭을 ‘예술의전당 교향악축제’로 변경하고, 세계적인 페스티벌로 도약을 준비한다.

1989년 음악당 개관 1주년을 기념해 시작된 교향악축제는 37년 동안 국내 대표 클래식 축제로 자리잡았다. 올해는 전국 18개 교향악단이 참가해 각기 다른 색채의 무대를 선보인다. MZ세대 지휘자들이 대거 등장하고, 역대 최다 해외 협연자들이 출연한다. 기념비적인 선곡과 희귀 레퍼토리도 포함돼 새로운 흐름을 예고한다.

참가 교향악단들은 축제 이전 해당 지역에서 동일한 프로그램을 선보인 뒤 예술의전당 무대에 오른다. 예술의전당은 이 축제를 통해 전국 교향악단 네트워크의 중심 역할을 강화하고, 국내 클래식 음악의 미래를 설계하는 자리를 마련한다.

축제는 라벨 탄생 150주년과 쇼스타코비치 서거 50주년을 기념하며, 브람스, 차이콥스키, 라흐마니노프, 말러 등 주요 작곡가들의 작품이 집중적으로 연주된다. 베토벤 교향곡 9번, 브루크너 교향곡 9번 등 대편성 작품과 함께 마르티누, 힌데미트 등의 현대음악도 포함된다. R. 슈트라우스, 니노 로타의 협주곡 등 보기 드문 편성도 무대에 오른다.

젊은 지휘자 정한결, 데이비드 이, 윤한결, 김선욱 등이 참여하고, 신임 지휘자 이병욱, 홍석원도 무대에 선다. 협연자로는 차오원 뤄, 사야카 쇼지, 아르세니 문, 이상 엔더스 등 해외 연주자들과 박지윤, 김민주 등 세계 무대에서 활약 중인 연주자들이 참여한다. 국내 연주자 신경식, 임채문, 윤혜리, 조인혁, 백주영, 이상은, 문지영, 윤홍천, 김규연, 김태형, 조재혁, 박재홍도 함께한다.

매 공연 시작 25분 전 객석에서는 김성현 기자와 연주자들이 참여하는 프리렉처가 진행된다. 전 공연은 ‘디지털 스테이지’를 통해 생중계되며, 예술의전당 야외광장과 부산영화의전당 광장에서도 상영된다. 일부 공연은 지역 공연장과의 협업으로 온·오프라인을 결합한 방식으로도 운영된다.

KBS교향악단, 국립심포니오케스트라, 서울시립교향악단, 경기필하모닉오케스트라 공연은 전석 매진됐다. 예매는 예술의전당 홈페이지, 콜센터(1668-1352), 인터파크에서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