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의 2월 자동차 수출액이 사상 처음으로 60억 달러(8조 6784억원)를 넘어서며 역대 2월 중 최고 실적을 기록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025년 2월 자동차 산업 동향'을 발표하고 지난달 자동차 수출액은 전년 동월 대비 17.8% 증가한 60억 7000만 달러를 기록했다고 18일 밝혔다. 수출 물량도 23만2978대로 17.3% 증가했다.
지역별로는 ▲북미 31억 8000만 달러(약 4조 5995억원, 14.8%↑), ▲유럽 8억 1000만 달러 (약 1조 1715억 8400만원, 22.6%↑) ▲아시아 4억 7000만 달러(약 6798억원, 42.3%↑) ▲중동 4억 2000만 달러 (약 6075억원, 38.2%↑) 등 주요 시장에서 모두 고르게 성장했다.

업체별로는 ▲현대차 9만 6152대(18.4%↑) ▲기아 9만 1561대(19.5%↑) ▲한국지엠 3만8176대 (27.7% ↑)이 증가세를 보였다. KG모빌리티(5630대, 0.9%↓)와 르노코리아(1218대, 76.0%↓)는 감소했다.
그러나 1~2월 누적 기준 자동차 수출액은 110억 6000만 달러(약 15조 9994억원)로 전년 대비 2.7% 감소했다. 산업부 관계자는 지난해 자동차 수출 호조에 따른 기저효과와 올해 긴 설 연휴로 인한 조업일수 감소가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한편 친환경차 수출은 전기차 수요 정체 속에서도 6만 8960대로 32.0% 증가했다. 하이브리드차 수출이 크게 증가하며 성장을 견인했다.
전기차 수출이 2만 3151대로 2.0% 감소한 반면 하이브리드차는 3만 9489대로 61.7% 급증했다.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차도 6321대로 50.5% 증가했다.
국내 시장에서도 친환경차가 호조세를 보였다. 2월 내수 판매는 13만 2855대로 14.8% 증가했다. 이 중 친환경차는 6만 351대로 50.2% 증가했다. 특히 전기차 판매는 정부 보조금이 작년보다 일찍 확정되면서 1만 4265대로 전년 대비 298.1% 급증했다.
자동차 생산량도 35만 1983대로 17.1% 증가하며 2014년 2월 이후 11년 만에 2월 기준 35만대를 돌파했다.

다만 미국의 민감국가 설정 등은 변수다. 이에 대해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한미 과학기술·에너지 협력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미국 측과 긴밀한 협의를 당부하는 등 관련 사안을 직접 챙길 예정이다.
안덕근 산업통산자원부 장관은 3주만에 미국을 재 방문해 한국을 목록에서 빼 달라는 요청도 할 것으로 알려졌다. 정인교 통상교섭본부장도 지난 13∼14일(현지시간) 워싱턴 DC를 방문해 관련 협의를 이어갔다.
산업부는 "미국의 무역 조치 가능성에 대해 자동차 대미 협력 태스크포스를 통해 업계 의견을 수렴하고 미국 등의 동향을 예의 주시하면서 대응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