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대모비스가 자체 설계한 차량용 반도체 양산을 확대하고 미국 실리콘밸리에 연구거점을 신설해 전동화 중심의 반도체 생태계를 강화한다고 18일 밝혔다.
현대모비스는 지난 2020년 현대오트론 반도체 사업 인수를 기반으로 전동화와 전장, 램프 등 핵심 부품용 반도체 개발 및 신뢰성 검증을 완료하고 올해부터 본격 양산에 돌입했다.
현대모비스가 올해 양산하는 주요 제품은 전기차 전원 제어 기능을 통합한 전원통합칩과 램프 구동 반도체다.
또 이미 공급 중인 배터리관리집적회로(IC)는 차세대 제품 개발에 착수했다. 이 반도체는 전기차 배터리 충전 상태를 실시간 모니터링해 안정성을 확보하는 핵심 부품이다.

글로벌 협력 강화를 위한 실리콘밸리 연구거점도 신설한다. 시설은 국내 연구소와 투트랙으로 운영되며 현지 환경에 특화된 반도체 설계 기술을 개발하게 된다.
구체적인 중장기 로드맵도 제시했다. 내년에는 실리콘 기반 고전력 반도체, 오는 2028년에는 차세대 배터리관리 IC, 오는 2029년에는 실리콘카바이드 기반 전력반도체 양산을 목표로 하고 있다.
현대모비스 관계자는 "최신 차량에는 최대 3000여 개의 반도체가 탑재되며 자율주행과 전동화 기술 발전으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며 "이에 대응해 회사는 반도체 사업 전담 조직을 구성해 300여 명의 전문인력을 확보했다"고 밝혔다.
한편 현대모비스의 반도체 연구는 전력반도체와 시스템반도체 두 분야로 나뉜다.
전력반도체는 전기차의 주행거리와 구동 능력을 향상시키는 핵심 부품으로, 회사는 설계 내재화를 통해 '전력반도체-파워모듈-인버터-모터-PE시스템'으로 이어지는 전기차 구동계 밸류체인 완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시스템반도체는 전원, 구동, 통신, 센싱, 네트워킹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며 자율주행과 소프트웨어 중심 자동차(SDV) 구현에 필수적이다.
현대모비스는 전략 제품에 대한 독자 설계 역량은 강화하되 기타 반도체는 별도 생태계를 구축해 수급 대응력을 높이는 이원화 전략을 채택했다.
박철홍 현대모비스 반도체사업 담당 전무는 "실리콘밸리 연구거점 신설을 통해 차량용 반도체 생태계를 확대 구축하고, 해외 주요 기업들과의 연구개발 협력을 강화할 것"이라며 "이를 통해 전동화와 전장부품용 핵심 반도체 독자 개발을 가속화하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