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청은 오는 2027년까지 1인당 도시숲 면적을 15㎡로 확대한다. 도시숲이 호흡기 질환의 주범인 미세먼지를 잡는데 유효하기 때문이다.
6일 올해 국립산림과학원에서 국제학술지에 발표한 '도시숲 증가와 호흡기 질환 관련 진료건수 감소에 대한 연구'에 따르면 경기도 시흥시에서 조성한 미세먼지 차단숲 '곰솔누리숲'의 미세먼지 평균농도를 조사한 결과 17년간(2006~2023) 미세먼지 평균농도가 85.2㎍/㎥에서 43.0㎍/㎥로 49.5%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같은 시기 주변지역의 호흡기질환 관련 진료건수도 3만 6709명에서 2만 776명으로 43.4% 줄어 도시숲이 증가할수록 진료건수는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중국 북부 지난지역에서 도시숲이 대기질과 미기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연구를 보면 도시숲 지역의 초미세먼지(PM2.5) 농도가 일반 도심지역보다 6.3∼6.5㎍/㎥ 낮았고 오존 농도도 21∼23㎍/㎥ 낮은 것으로 확인됐다. 또 도시숲 지역의 기온이 4.1∼6.8°C 낮은 반면 상대 습도는 12.9∼13.4% 높아 생활환경이 쾌적했다.
산림청은 지난 2019년부터 기후대응 도시숲 588개소와 도시외곽 산림의 맑고 찬 공기를 도심으로 유입시키는 도시바람길숲을 17개 도시에 조성해 주목을 받았다. 이어 자녀안심그린숲 279개소도 조성했다. 올해는 기후대응 도시숲 107개소, 도시바람길숲 20개소, 자녀안심그린숲 60개소를 추가로 조성키로 했다.
산림청은 지난 2023년 5월 국무조정실과 함께 전국 도시숲 조성사업 실태를 점검한 바 있다. 지난해 6월에는 ‘기후대응도시숲 등 조성·관리 현장 실무가이드’를 개정·배포했다.
김기철 산림청 도시숲경관과장은 "국민 모두가 가까운 곳에서 숲을 누릴 수 있도록 도시숲을 지속적으로 확대함은 물론 건강한 숲으로 육성해 국민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