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1월 다 짓고도 팔리지 않은 '악성 미분양' 주택 규모가 2만3000가구에 육박하며 11년 3개월 만에 최대치가 됐다.
28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1월 주택 통계'에 따르면 1월 말 기준 전국 미분양 주택은 7만2624가구로 전월(7만173가구) 대비 3.5%(2451가구) 늘었다.
이번 미분양 증가분은 모두 수도권에서 나왔다. 평택에서 미분양이 대거 발생하며 경기 미분양이 한 달 새 2181가구 늘었다. 수도권 미분양은 전월보다 16.2%(2751가구) 늘었고, 지방은 0.6%(300가구) 감소했다.
악성 미분양으로 분류하는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은 2만2872가구로 전월보다 6.5%(1392가구) 늘었다. 이는 2013년 10월(2만3306가구) 이후 11년 3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지난 2023년 8월부터 18개월 연속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다.
지난달 늘어난 악성 미분양의 86%는 지방에서 발생했다. 지역별로 보면 대구 401가구, 부산 382가구, 경남 257가구 등 증가했다.
인허가·착공 등 주택 공급 선행지표도 부진한 모습이다.
1월 주택 인허가는 2만2452가구로 지난해 동기간보다 13.0% 줄었다. 수도권 인허가는 1만5128가구로 37.9% 증가했지만, 지방은 7324가구에 그쳐 50.7% 감소했다
주택 착공은 1만178가구로 지난해 동기간보다 55.7% 감소했다. 수도권 착공이 3985가구로 68.4%, 지방은 6193가구로 40.1% 줄었다.
1월 분양은 7440가구로 지난해 동기 대비 46.2% 줄었다. 준공 실적만 4만1724가구를 기록하며 지난해 동기 대비 13.5% 증가했다.
한편 정부는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지방 미분양 3000가구를 사들이고, 지방 미분양을 매입하는 CR리츠(기업구조조정 부동산투자회사)를 조속히 출시하겠다는 방안을 지난 19일 내놨지만 시장 반응은 시큰둥하다. 업계가 요구해 온 취득세와 양도소득세 완화 등 세제 혜택이 빠진 데다 LH 매입 물량도 적다는 평가가 주를 이룬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