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무안국제공항에서 발생한 제주항공 여객기 사고는 양쪽 엔진이 조류와 충돌해 전원이 차단된 것으로 추정된다. 국토교통부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항철위)는 사고기의 블랙박스와 관제 교신 기록을 분석한 결과, 사고 당시 여객기가 저고도에서 새 떼와 부딪혀 사고로 이어졌다고 밝혔다.
항철위는 25일 유가족 대상 설명회에서 조사 진행 상황과 향후 계획을 공개했다. 사고기는 지난해 12월 29일 오전 8시 54분 무안국제공항 관제탑과 착륙 교신을 시작했다. 이후 관제탑은 8시 57분 조류 활동 경고를 발령했으며, 8시 58분 조종사는 항공기 아래 새 떼를 발견했다.
사고는 8시 58분 56초 복행 중 발생했다. 조종사는 관제탑에 비상사태를 의미하는 ‘메이데이’를 선언했으나, 블랙박스 기록은 조류와의 충돌 이후 전원이 차단돼 8시 58분 50초부터 중단됐다. 당시 항공기는 시속 약 298km로 151m 고도를 비행 중이었다.
무안공항의 CCTV 영상에는 항공기가 복행하면서 새 떼와 접촉하는 장면이 포착됐다. 사고 직후 항공기는 약 4분간 활주로 상공을 선회하다가 19번 활주로에 동체 착륙을 시도했으나, 랜딩기어가 내려오지 않아 활주로 너머의 방위각 시설물과 충돌했다.
사고기의 양쪽 엔진에서는 새 깃털과 혈흔이 발견됐다. 환경부 산하 국립생물자원관의 유전자 분석 결과, 조류는 군집성이 강한 겨울철새 ‘가창오리’로 확인됐다. 항철위는 조류 개체 수나 다른 종의 혼합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추가 시료를 채취하고 엔진을 분해 검사할 예정이다.

엔진 제작국인 프랑스의 항공사고조사위원회(BEA)와 협력해 조사를 진행 중이며, 엔진 잔해는 정밀 분석을 위해 서울 김포공항 시험분석센터로 옮겨졌다. 항철위는 오는 27일까지 국제민간항공기구(ICAO)에 예비보고서를 제출하고 이를 홈페이지에 공개할 계획이다.
항철위는 사고 원인을 규명하기 위해 운항, 정비, 외부 요인 등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블랙박스 및 관련 자료를 시간대별로 동기화해 분석 중이다. 또한 조류의 비행 패턴과 공항 환경이 사고에 미친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국내 전문 기관에 용역을 의뢰할 예정이다.
항철위 관계자는 "현재 긴박하게 초동 조사를 마쳤으며, 이제부터 수집된 정보를 기반으로 세부 분석을 철저히 진행할 것"이라며 "정확한 사고 원인 규명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