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 CNS 본사. 사진 = LG CNS 홈페이지.
LG CNS 본사. 사진 = LG CNS 홈페이지.

기업거버넌스포럼이 최근 불거진 LG CNS의 중복상장 논란과 관련해 지주사 투자 유인을 떨어트린다고 지적했다. 앞서 지난 9일 열린 LG CNS의 IPO 기자간담회에서 현신균 최고경영자(CEO)가 “LG CNS의 상장은 중복상장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부인했음에도, 해당 논란을 재차 꼬집은 것이다. 

포럼은 13일 논평을 내고 “LG CNS 상장으로 (주)LG의 모든 주요 자회사들이 상장된 상황에서, (주)LG 주식은 고아 주식이 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고 밝혔다. 

현재 LG전자, LG화학, LG생활건강, LG유플러스, HS애드 등 주요 자회사들이 이미 모두 상장돼 있는 상황에서 실질적으로 (주)LG의 유일한 대규모 비상장 자회사인 LG CNS가 상장될 경우 투자자들이 지주사 주식을 살 이유가 없어진다는 의미다.

실제로 LG CNS 상장 이후 (주) LG 비상장 자회사에는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은 디앤오, LG경영개발원, LG스포츠 등만이 남게 된다. 

아울러 포럼은 LG CNS의 이번 상장이 사실상 2대주주인 맥쿼리자산운용의 엑시트를 위함이라고 비판했다. 

LG CNS의 총 공모 주식은 1937만7190주로, 이 중 절반(968만8595주)이 맥쿼리자산운용 PE본부의 지분을 매각하는 구주 매출이며 나머지는 신주 발행이다. 또 LG CNS 지분 매각 당시 맺은 ㈜LG와 맥쿼리PE의 주주간계약에는 올해 4월까지 LG CNS 상장이 완료돼야 한다는 조건이 포함돼 있다. 

이에 포럼은 “현재 (주)LG가 자체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순현금은 약 1조5000억원이므로 자금 여력은 넘친다”며 “2대주주 PE의 구주매출과 장내매도를 통한 엑시트 목적 외에 굳이 IPO를 해서 모자회사 중복상장으로 인한 모회사 디스카운트를 유발할 이유가 있을까”라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책임경영이란 지배주주가 지주회사 지분율을 조금 높이는 것이 아니다”라며 “자회사에 대해 최소한 50% 이상의 지분율을 확보하도록 하고, 중장기적으로는 상장 폐지나 매각 등을 통해 중복상장을 해소하기 위한 정책적 논의가 시작되어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