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 밀집지역 모습. 사진=연합뉴스
서울 아파트 밀집지역 모습. 사진=연합뉴스

올해 전국 아파트 공급이 역대 최저치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분양 예정 물량 중 30% 이상이 아직 세부 일정을 확정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올해 전국 아파트 분양예정 물량은 14만6130가구다. 이는 조사 이래 가장 적었던 2010년(17만2670가구)보다 낮은 수치로 15년만에 최저치를 기록할 전망이다. 이 중 아직 분양 일정을 잡지 못한 물량은 4만8227가구로 전체의 33%에 달한다.

서울은 전체 분양 예정 물량 2만1719가구 중 1만432가구(48%)가 일정을 잡지 못했다. 경기도는 5만550가구 중 1만6758가구(33.2%)가 미정이다. 광주는 76.8%, 충남은 53%의 분양 일정을 잡지 못한 상태다.

수요가 높은 10대 건설사의 분양 계획 물량도 줄어들 전망이다. 10대 건설사의 올해 분양계획 물량은 10만7612가구로 전년(15만5892가구) 대비 31% 감소할 예정이다.

또 올해 수도권 아파트 분양 물량의 절반 이상이 정비사업을 통해 공급될 예정이다. 수도권 분양 예정 물량 8만5840가구 중 4만5202가구(52.7%)가 정비사업 물량이다. 정비사업 비중이 높은 만큼 공사비 상승과 조합·시공사 간 갈등 등으로 인한 공급 지연 가능성도 커지고 있다. 실제로 지난해 수도권 아파트 분양 계획 물량의 33%(3만6231가구)가 올해로 이월된 바 있다.

주택산업연구원(주산연) 발표에서도 분양시장 전망이 어두운 것으로 나타났다. 주산연이 주택사업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1월 분양물량 전망지수’는 전월 대비 13.8포인트(p) 하락한 77.5로 나타났다. 인허가 물량 급감과 대출규제 강화, 정국 불안정 등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이 지수는 100을 넘으면 시장 전망을 긍정적으로 보는 회원사가 많다는 의미고 100아래면 그 반대를 의미한다.

이지현 주산연 부연구위원은 "대출규제 강화와 올해 경기 전망 악화, 탄핵 정국에 따른 불안 심리 등으로 분양전망 지수가 석 달 연속 크게 하락했다"며 "다만, 미국의 기준금리 인하 등에 따른 주택담보대출 금리 하락과 공급 부족 누적 등으로 탄핵 정국이 마무리되면 늦어도 6월 이전에는 지수 하락 추세가 전환될 가능성이 있어 보인다"고 밝혔다.

연간 아파트 분양계획 물량 대비 분양실적 물량. 부동산R114 제공
연간 아파트 분양계획 물량 대비 분양실적 물량. 부동산R114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