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큐셀이 2021년 완공한 미국 텍사스주 168MW 규모 태양광 발전소. 사진=한화큐셀
한화큐셀이 2021년 완공한 미국 텍사스주 168MW 규모 태양광 발전소. 사진=한화큐셀

2024년은 태양광 업계에 먹구름이 짙게 드리운 해였다. 특히 국내 태양광 기업들은 국내 제조원가보다 값싼 중국산 저가 모듈 공세에 큰 타격을 받으며 어려운 시기를 보냈다.

앞으로는 다를 것이라는 기대감이 크다. 특히 일각에서는 내년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중국을 겨냥한 ‘관세 장벽’을 현실화할 경우 국내 태양광 업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전망에 힘이 실리고 있다.

국내 태양광 기업, IRA 세제 혜택으로 북미 시장에서 돌파구 모색

태양광 설비. 사진=연합뉴스
태양광 설비. 사진=연합뉴스

글로벌 태양광 시장은 가격 경쟁력을 앞세운 중국산 제품의 공급과잉으로 포화상태다. 국제에너지기구(IEA) 조사에 따르면 중국 태양광 업체들은 세계 태양광 패널 시장에서 80% 점유율을 기록하며 사실상 시장을 독점하고 있다.

한국 기업들은 어려운 상황에 몰렸다. 실제로 30일 업계에 따르면 국내 대표 태양광 제조 기업인 한화큐셀은 올해 1~3분기 3181억원의 영업 손실을 기록했다. 유럽 태양광 시장 성장세 둔화와 중국 태양광 기업들의 저가 물량 공세로 당분간 실적 턴어라운드도 기대하기 어렵다는 전망이 나온다.

다행히 반등 포인트는 있다. 북미 시장이 새로운 기회로 부상하고 있기 때문이다. 당장 한화큐셀이 지난 2021년 인수한 독일 에너지 거래 플랫폼 기업 링크텍 지분 66%를 현지 에너지 공기업 에너시티에 전량 매각하는 등 유럽 시장에서 산업 규모를 축소하고 미국 시장에 집중하고 있다.

기회의 여지도 많아졌다. 미국은 IRA(인플레이션감축법)의 MPTC(첨단제조생산세액공제) 제도를 통해 미국 현지에서 생산된 태양광 부품에 대해 세제 혜택을 부여하고 있기 때문이다. 갈륨·티타늄 등 태양광의 원료부터 폴리실리콘·웨이퍼·인버터, 발전소와 같은 태양광 공급망 요소에 세액 공제 혜택을 제공하고 있다.

한화큐셀은 지난 4월 미국 와이오밍 주에서 150㎿(메가와트) 규모의 태양광 발전소를 완공을 시작으로 5월 캘리포니아 주에서 50㎿ 규모의 태양광 발전소와 200MWh(메가와트아워) 용량의 ESS(에너지저장장치) 프로젝트를 완료했다. 7월에는 콜로라도 주에 257㎿ 규모의 태양광 발전소 개발 후 EPC(설계·조달·시공)에 착수하는 등 미국 현지 태양광 밸류 체인 구축에 화력을 집중하고 있다.

북미 유틸리티 태양광과 ESS 시장의 핵심 업체로서 리더십을 강화하기 위한 투자를 지속해온 OCI홀딩스도 마찬가지다. 최근 미국 전력 공급 회사 CPS 에너지와 120㎿(메가와트) 규모 에너지저장장치(ESS) 사업에 관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 협약으로 OCI 에너지는 오는 2026년 말까지 미국 텍사스주 베어카운티의 약 14만㎡ 부지에 설비용량 ESS 프로젝트 개발을 완료하고, 향후 약 20년간 CPS 에너지를 통해 샌안토니오 지역에 전력을 제공한다는 방침이다.

업계에 따르면 이번 사업은 투자비 40% 이상이 미국 정부 투자세액공제(ITC) 대상으로, 수익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美, 對중국 ‘관세장벽’에 국내 태양광 업계 반사이익 기대

한화큐셀이 완공한 미국 캘리포니아 주 소재 태양광 발전소(50MW). 사진=한화큐셀
한화큐셀이 완공한 미국 캘리포니아 주 소재 태양광 발전소(50MW). 사진=한화큐셀

트럼프 2기 행정부의 대중 관세 정책이 국내 태양광 기업에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중국은 전 세계 태양광 패널 시장의 80%, 미국 시장의 약 70%를 점유하며 지배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미국이 높은 관세를 부과할 경우 국내 태양광 기업의 가격 경쟁력이 강화될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다.

다만 방심은 금물이다. 트럼프 2기 행정부가 IRA(인플레이션 감축법) 시행을 축소하거나 재생에너지 산업에 대한 지원을 줄인다면 재생에너지 산업 자체가 위축될 가능성도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내년부터는 중국산보다 더 저렴한 인도산 태양광 모듈이 시장에 유입될 것으로 예상되면서 국내 기업 경쟁력 강화가 시급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한편 금융위원회는 지난 25일 정부 관계 부처 및 정책 금융기관과 협의해 내년도 정책금융지원계획을 확정했다. 정부는 태양광 산업을 포함해 나노·수소·태양전지 산업 등에 21조 5000억 원을 투입해 미래 유망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지원할 계획이다.

산업통상자원부 역시 최근 재생에너지 정책 개선안을 발표하며 신재생에너지공급의무화(RPS) 의무 비율을 조정해 오는 2030년까지 태양광·풍력 발전량 비율을 60:40으로 맞춘다는 목표를 세웠다.

또 건물 일체형 태양광(BIPV)의 설치 위치와 적용 소재를 추가 개정하고, 전력시장 급전 정산 상한가격 제도를 시행해 태양광 산업 육성을 가속화한다는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