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5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긴급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5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긴급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5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긴급경제관계장관회의, 대외관계장관간담회를 잇따라 개최하고 경제, 산업 등 현안에 대해 점검하고 금융시장 변동성을 최소화, 대외 신인도 보존을 위한 각 부처별 방안, 트럼프 행정부 출범을 앞둔 산업 분야 대응책 등을 논의했다.

먼저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긴급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최 부총리는 "2025년 경제정책방향을 관계부처 합동으로 연내 발표하겠다"고 밝혔다.

최 부총리는 "지금은 우리 경제의 향방을 좌우할 매우 중요한 시기인 만큼 국회와 더욱 긴밀히 소통해 나갈 것"이라며 "반도체특별법, AI 기본법, 전력망특별법 등 우리 산업의 향후 운명을 결정지을 법안들이 연내에 최대한 처리될 수 있도록 산업계의 목소리를 정성껏 국회에 설명드리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국회와 적극 소통해 우리 경제의 안정적인 관리방안을 함께 모색하겠다"고 덧붙였다.

최 부총리는 "어제 국회에서 대통령 탄핵소추안이 가결됐다"며 "저희 경제팀은 현 상황에 대해 막중한 책임감을 느낀다"고 했다. 이어 "국민 여러분께 진심으로 송구하다는 말씀을 드리며 다시 한번 각오를 다지겠다"고 부연했다.

최근 경제 상황에 대해서는 "국내 정치 상황과 미국의 신정부 출범 등으로 우리 경제를 둘러싼 대내외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며 "금융·외환시장의 급격한 변동성은 일단 진정됐지만 안심할 수 없다"고 진단했다.

그는 "국민과 우리 기업은 물론 외국인 투자기업의 경제심리가 위축될 우려가 있다"며 "경제팀은 민관의 모든 역량을 결집해 경제를 최대한 안정적으로 관리하겠다"고 했다.

최 부총리는 "먼저 대외신인도를 확고하게 지키겠다"며 "외국인 투자가들의 어려움을 원스톱으로 해결해주는 범정부 옴부즈만 태스크포스(TF)를 가동하겠다"고 설명했다.

이어 "한국경제설명회(IR)를 개최하고 국제금융과 국제투자협력 대사를 파견, 우리 경제 상황과 대응 노력을 국제사회에 설명하겠다"면서 "외국 투자자들의 어려움을 원스톱으로 해결해 주는 범정부 옴부즈만 테스크포스(TF)를 가동하겠다"고 설명했다. 

또한 "대외신인도 제고의 핵심인 외국인 투자에 대한 인센티브를 획기적으로 강화할 것"이라고 했다.

최 부총리는 "긴급 거시경제·금융현안 간담회(F4 회의)를 통한 금융·외환시장 실시간 모니터링과 시장안정을 위한 대응은 계속 신속하게 하겠다"고 했다.

"경제외교 공백 없어야…기업·수출 전력 지원"

최 부총리는 이날 대외관계장관 간담회도 개최해 "경제 외교에 공백이 없도록 정부가 노력을 다해야 한다”며"국내외 불확실성이 우리 기업과 수출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전력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간담회에는 조태열 외교부 장관,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정인교 통상교섭본부장이 참석해 대외경제 불확실성에 대한 부처별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최 부총리는 "전날 대통령 탄핵소추안이 가결됐지만, 한국 경제는 불확실성을 헤쳐 나가는 역량과 능력이 있는 만큼 언제나 흔들림 없이 대외통상 환경 변화 가능성에 최선을 다해 대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먼저 외교부와 경제 부처, 미국 지역 재외공관은 공조 체계를 구축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 미국 내 소통을 강화하고, 민간업계와도 긴밀한 협조 체계를 구축한다는 방침이다. 특히대외관계장관 간담회를 정례화해 통상 현안과 공급망 안정성을 상시 점검하고, 국익을 최우선으로 한 종합 대응전략을 세우기로 했다. 

최 부총리는"정부는 대외관계장관 간담회를 정례화해 경제협력과 통상 현안, 공급망 안정성을 점검하고 즉각 대처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날 회의 참석자들은 국내 상황이 매우 엄중하다는 점에 대해 공감하며, 총력을 다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최 부총리 역시 "미국 신 행정부 출범 대비를 포함, 정부는 대외 경제 외교에 한치의 공백도 발생하지 않도록 혼신의 노력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