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겹살, 칼국수 등 서민들이 선호하는 외식 메뉴 가격이 올해 크게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서민 외식 부담이 보다 증가할 전망이다.
15일 한국소비자원 가격정보포털 ‘참가격’에 따르면 올해 1∼11월 소비자 선호 8개 외식 메뉴의 서울 기준 평균 가격 상승률은 4.0%로 나타났다. 8개 외식 메뉴는 김밥, 자장면, 칼국수, 냉면, 삼겹살, 삼계탕, 비빔밥, 김치찌개백반 등이다.
메뉴별로 보면 김밥이 올해 1월 3323원에서 지난달 3500원으로 5.3% 올라 상승 폭이 가장 컸다. 같은 기간 자장면은 7069원에서 70423원으로, 비빔밥은 1만654원에서 1만10192원으로 5.0% 각각 올랐다.
가격 상승률은 메뉴별로 냉면(1만1385→1만1923원) 4.7%, 칼국수(9038→9385원) 3.8%, 삼겹살(200g 환산, 1만9429원→2만83원) 3.4% 등 순이다. 삼계탕은 1만6846원에서 1만7629원으로 2.5% 올랐고 김치찌개백반은 8000원에서 8192원으로 2.4% 상승하면서 상대적으로 오름폭이 덜했다.
전반적인 고물가 현상 속에 기후 위기와 환율 급등이 겹치며 먹거리 물가가 고공행진 했다는 분석이다. 칼국수 한그릇도 1만원에 근접했으며 삼겹살 200g도 2만원대를 넘어섰다. 서민 가족이 편하게 즐기던 삽겹살 외식도 부담스러워진 셈이다.
지난 11일 KDI가 주최한 ‘한국경제 생산성 제고를 위한 개혁방안’ 컨퍼런스에서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도 “그동안 한국 경제를 지탱했던 수출의 성장 견인력이 위축되면서, 전반적인 경기 활력이 약화되는 모습”이라며 “최근 소비성향이 갑자기 낮아지는 가운데, 향후 실질 구매력이 크게 개선될 여지가 많지 않아 소비 반등 모맨텀을 찾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내수 회복 어려움을 전망한 바 있다.
향후 마트 삽겹살 소비가 늘고 외식이 줄어드는 등 불황형 소비가 더욱 뚜렷해질 것으로 예상되는 이유다. 이에 지난해 100만명에 육박한 자영업자 폐업이 가속화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