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험연구원과 한국FP학회가 공동 주최한 '금융혁신: 소비자편익과 소비자보호' 세미나가 12일 서울 여의도에 위치한 보험연구원 컨퍼런스룸에서 열렸다. 디지털 금융의 확산 속에서 소비자들이 누리는 편익과 동시에 직면하는 위험을 점검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적·산업적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된 자리다.
이날 세미나에는 안철경 보험연구원장, 차경욱 한국FP학회장, 전요섭 금융위원회 디지털금융정책관, 변혜원 보험연구원 연구위원, 김규림 삼정 KPMG 경제연구원 상무 등이 참여한 가운데 진행됐다.
안철경 보험연구원장은 환영사에서 "급변하는 금융환경 속에서 디지털 기술이 새로운 기회를 창출하고 있지만 소비자 권익 강화라는 새로운 과제를 제시하고 있다"며 "미래를 설계하는 통찰을 얻는 논의의 장을 계속 마련해 금융산업 동반자로서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금융보안 규제의 선진화 필요해"

금융위원회 전요섭 디지털금융정책관은 첫 발표자로 나서 디지털 금융 혁신의 성과를 조명했다. 그는 "핀테크 혁신펀드와 오픈뱅킹 도입, 데이터 거래소 구축 등은 금융산업의 디지털 전환을 앞당겼다"며 "소비자는 보다 빠르고 편리한 금융서비스를, 금융업계는 데이터 활용을 통해 새로운 사업 기회를 얻었다"고 평가했다.
또한 전 정책관은 금융보안 규제의 선진화 필요성을 강조하며 "안정적인 디지털 금융 환경 구축은 소비자 신뢰와 직결된다"고 말했다. 향후 정책 방향으로는 △핀테크 기업 해외 진출 지원 △AI 기반 금융서비스 활성화 △금융·비금융 데이터를 결합한 혁신상품 개발 지원 등을 제시하며, 특히 "AI 기술이 신용평가와 금융상담에 활용되면 금융소외계층의 접근성을 높일 수 있다"고 전망했다.
"규제 샌드박스 활용을 확대 및 민간 투자를 활성화해야"

보험연구원의 변혜원 연구위원은 핀테크 기술을 활용한 금융포용 사례를 중심으로 발표를 진행했다. 그는 "소상공인을 위한 선정산 서비스와 같은 핀테크 기반 금융상품이 소비자 편익과 금융업계 수익성을 동시에 제고하는 사례"라고 소개하며 "규제 샌드박스 활용을 확대하고 민간 투자를 활성화하면 금융 접근성이 더욱 개선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변 연구위원은 금융포용 활성화를 위한 방안으로 △제도 및 절차 분야 지원 △투자 촉진 △시장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조치를 제안했다. 그는 "금융규제 샌드박스 제도를 통해 핀테크 기업의 사업 개시와 면허 취득 절차를 간소화하고, 민간 투자 기준 마련과 인센티브 제공으로 금융포용사업 투자를 독려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삼정KPMG의 김규림 상무는 글로벌 인슈어테크(InsurTech)와 보험사의 디지털 전환 동향을 발표하며 국내 보험업계가 나아갈 방향을 제시했다. 그는 "글로벌 보험사들은 고객 데이터 분석과 AI를 활용해 헬스케어 플랫폼, 모빌리티 서비스 등 새로운 영역으로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 상무는 특히 AI 기술을 활용한 맞춤형 보험상품과 디지털 채널의 중요성을 언급하며 "국내 보험사들도 데이터 활용과 플랫폼화 전략을 통해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예측 기반 리스크 관리 역량 강화와 유망 스타트업과의 협업을 통해 신사업 모델을 구축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세미나 종합토론에서는 디지털 금융의 확산이 소비자에게 혁신적인 편의를 제공하는 한편, 정보 비대칭성으로 인한 위험성을 초래할 가능성도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박광수 동의대 교수가 좌장을 맡은 토론에서는 금융서비스 설계 단계에서 소비자 보호 장치를 내재화하고, 이를 지속적으로 점검하는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는 데 의견이 모아졌다.
"금융업계와 정부의 협력 중요해"

이번 세미나는 디지털 금융의 편익과 위험을 균형 있게 다루기 위해 업계와 정부가 긴밀히 협력해야 한다는 점을 재확인한 자리로 평가된다. 보험연구원 관계자는 "디지털 금융은 소비자의 생활을 혁신적으로 변화시킬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며 "소비자 편익과 보호가 균형을 이루는 금융환경을 구축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디지털 전환이 금융시장에 미치는 변화가 가속화되고 있는 가운데, 이번 세미나에서 논의된 내용은 향후 정책 및 업계 전략의 중요한 기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