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고등교육재단과 최종현 학술원 이사장인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26일 오후 서울 광진구 워커힐 컨벤션에서 열린 한국고등교육재단 창립 50주년 미래인재 콘퍼런스 인재토크 패널로 참석해 미래 인재상에 대한 의견을 말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한국고등교육재단과 최종현 학술원 이사장인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26일 오후 서울 광진구 워커힐 컨벤션에서 열린 한국고등교육재단 창립 50주년 미래인재 콘퍼런스 인재토크 패널로 참석해 미래 인재상에 대한 의견을 말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최태원 SK그룹 회장(한국고등교육재단 이사장)이 26일 미래 인재의 핵심역량으로 ‘디자인 능력’을 꼽았다.

최 회장은 이날 서울 광진구 워커힐 호텔에서 열린 한국고등교육재단 창립 50주년 미래 인재 콘퍼런스에서 ‘인재의 숲에서 인류의 길을 찾다’를 주제로 인재의 자질과 양성법 등을 논의했다.

최 회장은 ‘디자인 능력’에 대해 “어떤 상황이 주어졌을 때 자원을 적재적소에 배치해서 문제를 풀어나갈 방법”이라며 “미래에는 사회 문제를 복합적으로 풀 수 있는 사람들이 인재라고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최 회장은 인재를 지식과 지혜, 지성 세 가지 측면으로 분석한 뒤 “사회를 올바른 방향으로 이끌어 갈 사람을 인재라고 정의했을 때 인재는 지성”이라고 정의했다. 이어 “지성은 집단으로 문제를 풀고 변화하는 세상에 적응하는 것”이라며 “안정적인 사회를 만드는 것은 지성이 존재하느냐에 달렸다”고 전했다.

인재의 또 다른 자질로는 ‘좌표 설정’을 언급했다. 최 회장은 “자기가 어떤 위치에 있는지 좌표를 설정할 수 있어야 방향성을 알고 문제를 풀어나가는 능력을 갖출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협동과 책임을 통해 자신의 가치관을 가져야 한다”며 “가치관을 통일시키기 어렵지만, 가능한 가치관을 맞춰갔을 때 이 사회에 지성이 갖춰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

최 회장은 한국고등교육재단 설립 당시 선대회장의 구상을 돌아보며 “앞으로의 도전은 그때와 다르다. 미래에는 전혀 다른 형태의 디자인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지금의 획일적인 대학 교육은 더는 의미가 없고, 각각 색깔을 낼 수 있는 형태로 가보려고 한다”며 “인공지능(AI) 시대는 과거보다 훨씬 더 빠른 속도로 변화하고 있고, 사회 시스템은 바뀔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한편 한국고등교육재단은 최 회장의 선친인 고(故) 최종현 선대회장이 ‘10년을 내다보며 나무를 심고, 100년을 내다보며 인재를 키운다’는 신념으로 1974년에 설립했다. 지난 50년간 장학생 5000여명을 지원했고, 세계 유수 대학의 박사 947명을 배출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