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유플러스(대표 황현식)는 LG전자와 KAIST가 설립한 LG전자-KAIST 6G연구센터와 공동으로 차세대 6G 통신의 후보 주파수 대역에서 전파의 투과 및 반사 특성을 측정하는 연구를 진행했다고 11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6G 통신망 개발을 위한 기초 작업으로, 대표적인 6G 후보 주파수의 특성을 분석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6G 후보 주파수는 국제전기통신연합(ITU)의 세계전파회의에서 논의되었으며, 한국이 제안한 4.4~4.8㎓, 7.125~8.4㎓, 14.8~15.35㎓ 주파수 대역이 6G 후보로 채택됐다. 또한, 140~160㎓를 포함한 100㎓ 이상의 광대역 후보 주파수들도 지정됐다.

LG유플러스와 6G연구센터는 이들 후보 대역 중에서 7~15㎓(Upper-mid)와 140~160㎓(Sub-㎔) 대역을 선정해 유리, 목재, 화강암 등 다양한 자재에 전파를 쏘아 투과와 반사에 따른 손실을 측정했다. 연구팀은 신호 흡수판과 주파수별 최적 안테나를 활용하고 로봇 팔로 구성된 자동화 측정 시스템을 개발해 측정의 정밀성을 높였다.

사진=LG유플러스
사진=LG유플러스

이 연구 결과는 향후 6G 표준 기술 개발과 이동통신 셀 설계 전략에 활용될 예정이며, LG유플러스는 실제 환경을 반영한 추가 실험을 계획하고 있다.

연구 성과는 오는 20일부터 22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대한민국전파산업대전(KRS 2024)에서 공개된다. LG유플러스 네트워크선행개발 담당 이상헌은 “6G 기술 개발에 의미 있는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이라며, “이를 통해 고객의 삶에 새로운 가치를 더하는 데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LG전자 C&M표준연구소장 제영호는 “이번 연구가 6G 전송 기술과 제품화 솔루션의 선제적 개발에 기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KAIST 조동호 명예교수는 “이번 연구가 6G 시스템 및 단말 제품의 경쟁력을 높이는 데 긴요하게 쓰일 것”이라고 기대를 나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