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성항법장치(GPS)가 탑재된 '산불진화용 웨어러블 로봇'이 보급되는 등 첨단 과학기술에 기반한 산불 대응체계가 구축된다.
31일 산림청이 발표한 '2024년 가을철 산불방지대책'에 따르면 오는 11월부터 12월 15일까지를 '가을철 산불조심기간'으로 정하고 본격 활동에 나선다.

이번 산불방지 대책은 ▲원인별 맞춤형 예방대책 추진▲첨단 과학기술 기반의 산불대응체계 구축▲체계적이고 신속한 산불진화▲산불방지인력 효율적 운영·역량강화 등 4개 과제로 추진된다. 특히 북한 쓰레기 풍선으로 인한 산불발생 대응방안도 함께 마련됐다.
우선, 입산자 실화와 소각산불의 예방차원에서 발생위험이 큰 지역의 경우 입산통제는 물론 등산로를 폐쇄한다. 또 농림축산식품부·농촌진흥청과 함께 '찾아가는 영농부산물 파쇄사업'을 확대해 불법소각 방지에도 나선다.
올해 봄철 산불조심기간(2월 1일∼5월 15일)에 ‘찾아가는 영농부산물 파쇄사업’을 추진한 결과 불법소각으로 발생한 산불건수가 37건으로 집계돼 최근 10년간 평균 106.4건에 비해 3분의 1 수준으로 줄어드는 등 성과도 거뒀다.
산림청은 산불 감시카메라에 연결된 AI를 통해 실시간으로 연기·불꽃 등을 탐지해 산불발생 여부를 판단한다. 또 기초·광역자치단체의 다중 감시체계를 구축해 업무부담을 줄이면서 감시효율은 높인다는 전략이다. 작년까지 정보통신기술 기반 산불관제 플랫폼 10개를 구축한데 이어 올해 말까지 30개로 확대한다.
또 산불진화헬기 196대를 동원하는 것을 비롯해 이동식 저수조 89개와 결빙방지장치 75개도 설치한다. 국산 수리온 헬기(2000ℓ) 2대도 추가 도입하고 기존 산불 진화차보다 담수량이 3.5배, 분사량이 4배 각각 향상된 고성능 산불진화차를 18대에서 29대로 늘린다.
산림청은 가을철 산불조심 기간에 2만 2000여명의 산불예방·진화인력을 투입하고 산불확산 단계별로 탄력적으로 운영한다. 특히 북한 쓰레기 풍선의 낙하 예상지역에 산불 진화인력 등을 추가 배치한다. 비무장지대(DMZ) 산림항공관리소에는 헬기 2대를 전진 배치하고 북부·동부지방산림청 산불전문 예방진화 인력을 630명에서 680명으로 늘린다.
임상섭 산림청장은 "건강한 숲을 만들기 위해서는 산불로부터 숲을 보호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가을철 산불조심기간에 통제구역 출입을 통제하고 담배불과 불법소각 등으로 산불이 발생하지 않도록 예방에 적극 동참해 달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