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동섭 한국석유공사 사장이 석유 개발 및 비축을 통해 국가 에너지 안보 확립에 기여하는 한편, 공사의 보유 역량 및 기술, 인프라를 활용해 저탄소 신사업 에너지를 적극 추진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김 사장은 17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업무보고를 통해 이 같이 밝혔다.
김 사장은 “공사는 2020년에서 2023년까지 총 1조8000억원의 차입금을 감축하는 성과를 거뒀으며 2022년에는 12년 만에 흑자 전환해 지난해 5000억원의 당기순이익을 달성했다”면서 “앞으로도 개선된 재무성과 창출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현재 해외자원개발사업을 통해 약 9억4000만 배럴의 매장량을 확보해 일일 14만3000배럴, 연 5000만 배럴의 석유가스를 생산하고 있으며 연간 3조원 가량의 매출을 올리고 있다”면서 “연간 생산량 5000만 배럴 중 유사시에 국내 도입이 가능한 4000만 배럴을 확보해 에너지 안보에 기여하고 있다”고 전했다.
김 사장은 “국내 석유비축사업을 통해 9개 지역, 총 1억4600만배럴 규모 비축시설에 약 9700만배럴의 석유를 비축하고 있으며, 이는 국가비상사태 시 IEA(국제에너지기구) 기준 112일간 지급 가능한 물량”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수소시대에 운송저장매개체로 주목받고 있는 암모니아에 대해서는 유통 공급기반 구축으로 생태계 조성에 기여하고 있다”면서 “고갈된 가스전의 이산화탄소를 지하에 저장해 국가 탄소중립 달성에 기여하는 CCS(탄소포집저장)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전 세계적 저탄소시대 신사업으로 동해 부유식 해상풍력사업에 박차를 가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국내 자원개발과 관련해 김 사장은 “대륙붕 중장기 탐사 계획인 광개토 프로젝트의 수립 및 이행을 통해 서해·남해 탐사사업 확장으로 해양주권 확보, 에너지 안보 강화, 탄소중립 목표 달성 및 자원사업 개발 활성화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또 “해외자원개발의 경우 자원안보와 국제협력 공조를 위해 수익성이 높고 국가비상 시 도입이 용이한 전략지역을 중심으로 매장량을 확보해 자원 안보와 재무적 성과를 창출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석유 비축 사업은 정부 계획을 충실히 이행하는 한편, 산유국 국영 석유사와 협력을 강화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한편 김 사장은 “석유 비축 사업은 정부 석유 비축 계획을 충실히 이행하면서 산유국 국영 석유사와 신 국제 공동 비축을 추진해 전략적 비축 목표 달성과 경제성 확보를 동시에 추진하겠다”면서 “에너지 허브 사업을 통해 역내 석유 물동량을 확대해 다층적 석유 안보 체계를 구축하도록 하겠다”고 전했다.
끝으로 김 사장은 “공사는 6년 연속 중대재해가 발생하지 않았다”며 “앞으로도 높은 안전경영 수준을 구현하고 유지하며 안티 드론 시스템 확대 등 스마트 안전 신기술 도입으로 안전 모범기관으로 자리매김하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