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는 2028년 말까지 세종 행복도시 다솜동에 2.2만㎡ 규모로 학생과 노인, 치매환자 등을 대상으로 한 맞춤형 프로그램이 도입된 세대통합형 치유농업특화 공원이 들어선다.
30일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에 따르면 농촌진흥청과 세종특별자치시, 한국토지주택공사(LH) 세종특별본부 등과 함께 ‘행복도시 도시농업공원 조성 및 운영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변경 체결했다.
이번 협약을 통해 행복청은 실습교육장과 치유정원 등 지원시설 건립을 포함한 공원조성계획 수립과 도시계획 인허가 절차를 지원하고 LH는 지원시설과 공원을 건립·조성한다는 계획이다.
세종시도 치유·도시농업 교육프로그램 제공과 시설운영을, 농진청은 공원설계‧관리·운영기술을 지원하기로 각각 약속했다.
치유농업은 농업소재와 동물·식물자원을 활용해 정신적·육체적 건강을 회복하기 위한 농업활동으로 농사자체가 목적이 아니라는 점에서 특징을 지닌다.
이들 기관은 실무협의체를 운영하고 치유농업 전문가 의견 등을 반영해 최적의 조성·운영방안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또 인접한 주거지역과 학교, 복합커뮤니티센터 등과 연계해 농업체험 프로그램이 포함된 교육·여가공간 조성에도 나선다.
최시복 행복청 도시공간건축과장은 “이번 협약은 행복도시에 치유농업을 선도적으로 도입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며 “인근 주민들을 대상으로 건강한 삶을 위한 터전마련은 물론 새 관광자원으로 만들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키워드
#이코노믹리뷰 #행복청 #농진청 #LH세종특별본부 #세종시 #행복도시 도시농업공원 #치유·도시농업 #세대통합형 치유농업특화 공원 #행복도시 다솜동 #치유농업 #도시농업 #복합커뮤니센터 #치매 #치유정원 #정원문화 #정원축제 #농업체험프로그램 #공원설계 #대상 #소재
윤국열 기자
kyyun33@econovill.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