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전기차 기업 BYD가 올해 글로벌 전기차 시장에서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며 점유율 1위에 올랐다. 반면 유럽과 북미의 비중은 줄어들고 현대자동차그룹도 주력 판매모델이 부진하며 소폭 역성장했다.
에너지 전문 시장조사기관 SNE리서치에 따르면 2024년 1~4월 동안 전 세계 80개국에 등록된 전기차(플러그인하이브리드차 포함) 총 판매량은 428만대로, 전년 동기 대비 20.3% 증가했다.
주요 그룹별 전기차 판매 대수를 살펴보면 BYD가 전년 동기 대비 19.0%의 성장률을 기록하며 글로벌 1위 자리를 이어갔다. ▲송(宋) ▲시걸 (海鸥) ▲돌핀(海豚)의 판매 호조가 BYD의 성장을 견인한 것으로 풀이된다.
BYD는 중국 시장을 중심으로 시장 점유율을 확대하고 있다. 플러그인하이브리드차(PHEV)를 제외한 순수전기차(BEV) 판매량은 약 41만대로 집계됐다. 동남아, 남미, 유럽 시장에서 급성장하는 모습을 보였다.

테슬라는 주력 차종들의 판매량이 감소하며 전년 동기 대비 11.1%의 역성장해 2위를 기록했다. 몬트 공장의 Model 3 Highland의 생산 초기 단계 이슈와 홍해 분쟁으로 인한 고객 인도 지연, 기가 베를린 공장의 방화 공격에 따른 공장 폐쇄가 주요 감소 요인으로 보인다.
3위는 지리(Geely) 그룹으로, 경형 전기차 판다 MINI는 3.2만대 이상, 중고급형 지커001이 3만대 이상 판매됐다. 신형 전기차 EX30를 포함한 볼보의 전기차들이 유럽을 중심으로 확대되고 있다.
반면 현대자동차그룹은 전년 동기 대비 1.7% 역성장을 기록했다. 주력 모델인 아이오닉 5·6, EV6의 판매량이 부진한 것으로 나탔다. 하지만 신형 코나 일렉트릭(SX2 EV)과 EV9의 글로벌 판매 확대, 스포티지와 투싼 PHEV의 해외 판매량은 오히려 증가했다.

지역별로 보면 중국 시장에서 1∼4월 모두 250만5000대가 판매돼 전년 동기보다 28.6% 성장, 글로벌 시장에서 총 58.5%의 시장 점유율을 기록해 세계 최대 전기차 시장 자리를 유지했다.
보조금 중단 이슈로 인해 판매량이 급감했던 작년 초와 달리 가격 경쟁력을 갖춘 경형 전기차 판매량이 증가하고 주요 완성차 업체들의 서브 브랜드 출시 등으로 전기차 대중화가 본격화되고 있다는 게 SNE리서치의 분석이다.
SNE리서치는 또 지난 4월에는 중국 정부의 이구환신 정책으로 내연기관차보다 전기차 보조금이 높게 책정되며 그 효과가 전기차에 집중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유럽은 전년동기대비 2.4%p 감소한 22.4%의 시장 점유율을 기록했다. 과거 BEV 중심의 고성장세를 보여왔지만 유럽 주요 국가들의 보조금 중단으로 인한 전기차 수요 둔화로 BEV의 성장률이 크게 둔화된 것으로 분석된다.
또한 내연기관차 및 하이브리드에 강점을 보이는 현지 업체들의 탄소규제에 대한 반발로 규제가 다소 완화되며 전기차 둔화는 2025년까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북미 지역은 테슬라와 Stellantis, 현대기아의 판매량이 성장세의 주요 요인으로 작용했다. 한편 IRA 보조금 정책으로 성장세를 유지해온 북미 지역의 전기차 판매량이 예상치를 하회하면서 7.2%의 상대적으로 낮은 성장률을 보였다.

SNE리서치는 “최대 전기차 시장인 중국을 제외한 주요 국가들이 약세를 보이고 있다”면서 “전기차 성장에 가장 큰 방해요인으로 꼽히는 것은 중국에 대한 미국의 견제”라고 분석했다.
또 “글로벌 기술 혁신 사업은 그동안 미국 주도로 이뤄졌으나 현재 전기차 시장은 중국이 주도하고 있다”면서 “가격 경쟁력에서 앞서는 중국을 배제하는 것은 글로벌 전기차 확산을 늦추는 큰 요인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중국 내수시장은 이미 대부분 중국업체들이 차지했고 이를 바탕으로 해외진출을 가속화하고 있다”면서 “중장기적으로 전 세계 친환경차 목표는 변함없겠지만 당분간 자동차업체들이 전기차를 고집하기 보다는 수익성 위주의 하이브리드, 내연기관차에 집중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망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