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이코노믹리뷰 DB
 사진=이코노믹리뷰 DB

15일(현지시간) 뉴욕증시는 3대 지수 모두 역대 최고점을 기록하며 장을 마감했다. 이날 발표된 4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완화되자 연내 기준금리 인하에 대한 투자자들의 기대가 증폭됐다. 여기에 4월 소매판매 역시 둔화해 지수 상승을 견인했다는 분석이다. 

이날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349.89포인트(0.88%) 오른 39,908.00에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61.47포인트(1.17%) 오른 5,308.15에, 나스닥지수는 전장보다 231.21포인트(1.40%) 오른 16,742.39에 거래를 마감했다.

다우지수는 장중 한때 39,935.04을 돌파했다. S&P500지수는 장중 5,311.76까지, 나스닥지수는 한때 16,749.74까지 고점을 높였다. 특히 S&P500지수는 1% 이상 오르면서 사상 처음으로 5,300선을 웃돌았다.

이날 미국 노동부는 4월 소비자물가지수(CPI)를 발표했다. 4월 CPI는 3.4%로 전문가들의 예상에 부합했다. 전년 동월 대비 3.4%, 전월 대비 03.% 상승했지만 전월값보다는 0.1% 로 소폭 둔화했다.

변동성이 큰 식음료와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 CPI의 연간 상승률은 2021년 4월 이후 최저점을 기록했다. 전월 대비로는 0.3% 올라 직전 세 달의 상승폭 중 가장 적었다. 전년  동월 대비로는 3.6% 상승했다.

전날 파월 연준 의장이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 고금리를 더 오래 유지해야 한다고 발언한 것과는 사뭇 다른 둔화세다. 

미 상무부에 따르면 올해 4월 미국의 소매판매는 계절 조정 기준 전월과 같은(0.0%) 7052억달러로 집계됐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집계한 전문가 예상값 0.4% 증가를 크게 밑돌았다. 

미 연준이 인플레이션을 가늠하는 주요 지표인 CPI가 둔화되고 소매판매도 정체 국면을 보이면서 연준의 연내 금리 인하에 대한 투자자들의 기대가 커졌다. 특히 건설업계는 모기지 금리 인하로 이어질 것이라는 예상에 동반 강세를 보였다. 

브라이언 닉 매크로인스티튜트 수석 투자전략가는 "CPI 수치는 연준이 올해 금리 인하를 시작해야 한다는 주장에 확고히 힘을 싣는다"며 "엔비디아를 비롯해 성장성 있는 많은 기업이 그 혜택을 받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엔비디아를 비롯한 빅테크 기업 주가 역시 대부분 우상향 곡선을 그렸다. 엔비디아는 3%대 상승했고, 알파벳A와 애플은 1%대 올랐다. 마이크로소프트도 1%대, 메타플랫폼스(페이스북)는 2%대 올랐다. 아마존닷컴은 약간 내렸고 테슬라는 2%대 하락했다.

CME그룹의 페드와치툴에 따르면 9월 미 연준의 금리동결 확률은 24.7%, 25bp 인하 확률은 52.7%로 반영됐다. 9월에 25bp를 넘어선 금리인하 가능성까지 합치면 금리인하 확률은 75.3%로 높아졌다.

금리 인하 기대에 10년물 미 국채수익률도 급락했다. 이날 10년물 미 국채수익률은 전일 전산장 마감가 대비 9bp 급락한 4.34%에 거래됐다

지난 2거래일 동안 급등했던 밈(Meme; 온라인상의 입소문을 바탕으로 투자가 이뤄지는 주식) 주식 종목은 하락세를 보였다. 이날 게임스탑은 18%대, AMC엔터테인먼트 홀딩스는 20%대, 레딧 주가는 4%대 하락한 반면, 로빈훗 마켓츠 홀로 2%대 상승했다.

뉴욕 커뮤너티 뱅코프는 전일 JP모건체이스에 50억달러 규모의 대출 포트폴리오를 매각했다고 발표했으나 주가가 5%대 하락했다.

한편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 지수(VIX)는 전장보다 0.97포인트(7.23%) 내린 12.45에 마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