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 들어 50억원 이상 초고가 아파트의 거래가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금리 등으로 부동산 경기 침체는 이어지고 있지만, 초고가 주택의 거래는 사뭇 다른 분위기다.
지난달 모 트로트 가수가 지난달 서울 용산구 한남동 주택을 120억원에 팔아 70억원의 시세차익을 얻은 것으로 알려지면서 부동산 침체에도 가격 상승세를 보이고 있는 고가 아파트에 대한 이목이 쏠렸다.
6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지난 1∼4월 전국 50억원 이상 아파트 거래 건수는 총 61건이다. 이는 작년 동기(34건)에 비해 79.4% 증가했다. 직전 4개월인 지난해 9∼12월(51건)과 비교해도 19.6% 늘었다.
주로 나인원한남(한남동), 아크로리버파크(반포동), 반포자이(반포동), 신현대9차·11차·12차(압구정동), 타워팰리스(도곡동), LG한강자이(이촌동), 한남더힐(한남동), 트리마제(성수동), 래미안원베일리(반포동) 등이 이 기간 초고가 아파트 거래 단지에 이름을 올렸다.
1∼4월 90억원 이상에 거래된 건수는 총 11건이었으며, 이 중 2건은 거래가가 100억원을 넘었다.
4월 용산구 한남동 나인원한남에서 244㎡평형이 120억원에 매매가 이뤄졌고, 3월에는 강남구 압구정동 현대7차 단지에서 245㎡평형이 115억원에 거래됐다.
올해 초고가 아파트 거래는 건수도 많지만 금액대 역시 더 높아진 것으로 분석된다. 90억원 이상 아파트 거래 건수는 작년 한 해 총 14건이었으나, 올해는 4월까지 벌써 11건에 달한다.
올해 1월 서울 용산구 한남동과 성동구 성수동, 강남구 삼성동 등에서 4건이 성사된 데 이어 2월에는 한남동 한남더힐과 나인원한남 등에서 모두 3건이 95억5천만∼99억5천만원에 계약됐다. 3, 4월 현대7차 단지와 나인원한남에서 100억대에 거래된 두 건까지 합하면 1~4월 90억원대 이상 거래는 11건이다.
이처럼 고가 아파트 거래가 늘고 있는 이유는 수요층이 고금리나 경기에 큰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현금 비중이 큰 자산가들은 금리 인상기에 오히려 부동산 자산을 불리고 있다고도 해석할 수 있다. 일각에서는 초고가 아파트 거래 증가가 일반 아파트의 거래 증가 및 가격 상승을 견인할 수 있다는 시각도 있다.
강남의 한 공인중개사는 "과거 동향을 보면 고가 주택시장 시장 거래가 늘고난 이후 다른 주택의 거래량이 증가하는 경우가 많았다"며 "자산가들이 초고가 주택 매입을 늘리는 이유는 향후 가격이 오를 것으로 보고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