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년까지 바이오의약품 분야에 18조원에 이르는 민간 투자가 집행될 전망이다. 정부는 이 기간 2조1000억원 규모의 연구개발(R&D)·인력 양성 등 예산을 들일 예정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일 경기 성남시 판교 스타트업 캠퍼스에서 안덕근 장관이 주재하는회의를 열고 이런 내용의 ‘바이오 제조 혁신 전략’을 꺼냈다. 회의엔 삼성바이오로직스와 셀트리온, 아미코젠과 같은 관련 기업의 관계자가 참석했다.

우선 정부는 첨단 바이오 제조 초격차 확보를 위한 R&D 지원과 바이오 소재·부품·장비 생태계 조성, 산업기반 구축, 해외 진출 등에 2030년까지 2조1000억원을 지원키로 했다.
정부는 같은 기간 바이오 기업들로부터 17조7000억원 규모의 투자를 끌어낼 계획이다. 이를 통해 바이오의약품 생산 15조원, 수출 100억달러(약 13조원)를 달성할 방침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글로벌 첨단 바이오의약품 위탁개발생산 업체 5개를 육성하고 5대 글로벌 바이오 소재·부품·장비 기업을 배출하겠다”며 “특히 첨단 바이오 생산 공정 고도화를 위한 ‘한국판 바이오메이드(BioMADE·바이오 제조 혁신 플랫폼)’ 사업은 예비타당성 조사를 거쳐 추진할 것”이라고 했다.
이혜진 기자
hjlee@econovill.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