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 스마트시티 국가시범도시(행복도시 5-1 생활권)를 조성할 사업승인자로 '㈜세종 스마트시티' 컨소시엄이 최종 선정됐다.

27일 국토교통부와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에 따르면 (주)세종 스마트시티는 모빌리티를 포함해 헬스케어, 데이터 플랫폼 등 스마트 서비스 21종을 설계·개발하는 동시에 건축설계 등 도시개발을 위한 절차를 단계적으로 추진한다는 구상이다.

행복청과 세종시는 26일 정부세종컨벤션센터에서 '스마트시티 계획수립 용역 1차 중간 보고회' 를 개최했다. 출처=세종시
행복청과 세종시는 26일 정부세종컨벤션센터에서 '스마트시티 계획수립 용역 1차 중간 보고회' 를 개최했다. 출처=세종시

(주)세종 스마트시티는 세종시와 한국토지주택공사, LG CNS 등 11개 기업이 참여하는 컨소시엄이다.

국가시범도시 구역은 세종 합강리 일대 274만 1000㎡에 계획인구 2만 4395명, 1만 630가구가 입주하게 된다. 총사업비 3조 1000억원을 들여 오는 2037년 준공이 목표다.

행정중심복합도시 생활권 배치도. 출처=행복청
행정중심복합도시 생활권 배치도. 출처=행복청

행복청과 세종시는 앞서 정부세종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스마트시티 계획수립 용역 1차 중간 보고회'에서 5-1생활권에 구현될 스마트시티의 기본 목표 및 추진전략, 부문별 계획 등이 논의했다.

이번 보고회에서 논의된 의견을 토대로 스마트시티 계획을 보완한뒤 2차 중간 보고회를 거쳐 완성된 스마트시티 계획을 수립해 연말까지 국토교통부에 승인 신청한다는 계획이다.

행복청 관계자는 “5-1 생활권 국가시범도시를 안전하고 편리한 스마트도시로 조성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