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수호 대한의사협회 비상대책위원회 언론홍보위원장이 6일 오전 의료법 위반 등 혐의 관련 조사를 받기 위해 서울경찰청 공공범죄수사대로 들어서며 입장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주수호 대한의사협회 비상대책위원회 언론홍보위원장이 6일 오전 의료법 위반 등 혐의 관련 조사를 받기 위해 서울경찰청 공공범죄수사대로 들어서며 입장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전공의 집단사직 공모 혐의를 받는 주수호 대한의사협회(의협) 비상대책위원회 언론홍보위원장이 6일 경찰에 출석했다.

서울경찰청 공공범죄수사대는 주 위원장을 비롯 정부가 고발한 의협 전·현직 간부 5명에 대해 경찰 출석을 요구했다. 주 위원장은 이날 5명 가운데 가장 먼저 경찰에 출석했다.

앞서 경찰은 고발당한 5명에 대해 출국금지 조치하고 6∼7일 경찰에 출석할 것을 요구했다.

주 위원장은 “숨길 것도, 숨길 이유도 없어 편하게 왔다”고 했다. 의료계 대표들을 고발한 정부 당국과 시민단체가 크게 당황할 것이라는 입장도 밝혔다. 경찰조사에서 혐의입증 등 나올 게 아무것도 없다는 주장이다.

주 위원장은 특히 전공의 집단 사직에 혐의에 대해 “교사한 적이 없기 때문에 교사죄가 성립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그는 “방조는 전공의들의 자발적 포기를 정부가 집단 사직이라고 규정하고 그 과정에서 우리가 알고도 가만히 뒀다는 것인데 MZ 세대는 신인류다”며 “선배들이 이러쿵저러쿵한다고 따르지 않는다. 우리가 후배들을 방조·교사했다는 건 본질과 다르다”고 주장했다.

주 위원장은 또 “살인적인 저수가로 출발한 대한민국 의료보험이 도입된 이래 오늘의 사태는 이미 예견됐다”고도 했다. 

그러면서 “의사들의 2024년 운동은 비폭력, 무저항, 자발적 포기 운동”이라며 “정부가 자발적 포기라는 의미를 훼손하지 않고 빨리 대화의 장으로 나올 수 있도록 정부의 고집을 꺾기를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경찰은 주 위원장에 이어 9일에는 노환규 전 의협 회장, 12일에는 김택우 의협 비상대책위원장(강원도의사회장)과 박명하 비대위 조직강화위원장(서울시의사회장)을 차례로 불러 조사할 예정이다. 임현택 대한소아청소년과의사회장은 출석 일정을 아직 조율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