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생명과학과 허원도 교수 연구팀이 세계 최초로 RNA 유전자 가위 기술(CRISPR/Cas13) 활성을 화학 유전학 및 광유전학으로 조절해 시·공간적으로 표적 RNA 염기를 편집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7일 밝혔다.
연구팀은 구조가 알려지지 않은 단백질 구조를 재구조화한뒤 화학적·광유전학적으로 조절가능한 Cas13 단백질 조각을 예측해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개발한 에디터 기술로 RNA 분해와 염기 편집을 실시간 유도하는 한편 활성을 조절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처음으로 실험 쥐 모델에 적용해 광유전학적으로 RNA 염기 편집이 효과적으로 일어나는 것을 입증했다.
연구팀은 질병관련 DNA 편집의 잠재적 위험인 돌연변이를 표적으로 하는 RNA기반 치료법 발전과 세포내 RNA기반 연구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했다.
허 교수는 "재결합이 가능한 분할 단백질 Cas13 조각을 개발해 화학적·광유전학적으로 특정 시·공간에서 정밀 조절되는 RNA를 확인했다"고 말했다.
윤국열 기자
kyyun33@econovill.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