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아 CES 2024 미디어데이. 사진=현대차그룹
기아 CES 2024 미디어데이. 사진=현대차그룹

기아는 8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2024년 국제 전자제품박람회(CES 2024)’에서 기아가 보여줄, 모두를 위한 모빌리티를 주제로 미디어 데이를 열었다. 기아는 이날 지속 가능한 PBV 모빌리티 솔루션의 미래 전략을 공개했다. 

이날 공개된 기아의 PBV 전략은 △전통적인 자동차의 개념을 탈피한 혁신적인 PBV 라인업 출시 △소프트웨어(SW) 기반의 최첨단 기술 적용 △파트너십 다각화를 통한 새로운 모빌리티 생태계 조성 등이다.

차량 그 이상의 플랫폼

기아는 이번 CES 2024에서 PBV의 개념을 ‘차량 그 이상의 플랫폼’으로 재정의했다. 새롭게 탄생하는 비즈니스와 생활 방식에 맞는 혁신적인 공간 활용을 할 수 있는 전통적인 자동차의 개념을 뛰어넘는 차량을 제공하겠다는 것이다.

기아는 이러한 비전을 바탕으로 중형 → 대형 → 소형으로 이어지는 PBV 라인업 구축, 완전한 맞춤화 제작 등을 내용으로 하는 단계별 PBV 로드맵을 공개했다. 

기아는 2025년 첫 중형 PBV인 PV5를 출시하고 PBV 사업을 본격적으로 펼친다. 차량 호출, 배달, 유틸리티 등의 사용 목적에 따라 다양한 라이프 모듈을 교체할 수 있는 컨버전 기능을 탑재하고, SDV와 경로, 정보 등 외부 데이터 간 연결성을 강화해 여러 대의 차량을 동시에 운영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이후에는 PBV를 완전하게 개인의 기호와 목적에 따라 맞춤 제작하는 ‘비스포크 모빌리티 솔루션’ 형태로 발전시킨다. 단계별 로드맵 추진을 통해 기아는 △자율주행 △미래항공 모빌리티(AAM) △로보틱스 △에너지 그리드 등의 미래 기술과 현대차그룹의 SDV 전략과 연계한 PBV 생태계를 조성할 계획이다.

PBV 콘셉트카 5종 공개

기아의 PBV 라인업. 사진=현대차그룹
기아의 PBV 라인업. 사진=현대차그룹

기아 PBV 라인업은 단순하면서도 직관적인 디자인을 바탕으로 견고하고 강인한 캐릭터를 구현했다. 스케이트보드 기반의 PBV 전용 EV 플랫폼 위에 다양한 수요를 반영한 모듈을 체결하는 형태를 채택해 활용도를 극대화했으며, 모든 기능은 쉽고 직관적으로 사용 가능하도록 만들어졌다.

기아 최초의 전용 PBV 모델인 PV5는 전용 EV 플랫폼과 확장된 휠베이스가 만들어낸 넓고 평평한 실내 공간이 특징이다. 책상과 같은 평면을 제공하는 운전석 콕핏과 위로 꺾어서 책상 램프로 활용할 수 있는 스티어링 휠은 운전자에게 사무실과 같은 경험을 제공한다.

향후에는 모셔널과 함께 개발한 로보택시(Robotaxi) 모델도 선보인다. 로보택시는 자율주행 기술을 기반으로 차량 호출 서비스의 혁신을 불러 일으킬 것으로 기아는 기대하고 있다. 

기아는 CES 2024에서 PV5 콘셉트 모델 외에도 PV7과 PV1 콘셉트 실물도 공개했다. 대형 PBV인 PV7은 라인업 가운데 가장 넓은 공간을 제공하며 주행 거리도 길어 다양한 용도에 적합한 모델이다. 소형 PBV인 PV1는 단거리 물류 운송에 최적화된 모델로, 드라이빙 모듈을 사용해 좁은 공간에서 회전 반경을 최소화할 수 있다. 

기아 카림 하비브 부사장은 “기아가 선사할 PBV 경험은 차량의 물리적 경계를 넘어 고객의 삶과 필요에 맞춰 확장될 것”이라며 “기아 PBV는 고객들의 일상을 보다 효율적이고 즐겁게 만들어주는 최고의 비즈니스 및 라이프스타일 파트너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다품종 소량생산’ PBV 전용공장 만든다

기아는 고객별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해 ‘PBV 전용 비즈니스 시스템’을 구축한다. 이를 위해 오토랜드 화성에 연간 15만대 수준의 생산능력을 갖춘 PBV 전기차 전용공장 이보 플랜트(EVO Plant)를 구축하고 있다. 

기아 PBV의 혁신은 이지스왑(Easy Swap) 기술에 힘 입어 극대화될 전망이다. 이지스왑은 소비자의 스타일에 맞게 라이프 모듈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기술이다. 전통적인 볼트 체결 방식 대신 마그네틱 체결과 기계적 체결을 결합한 하이브리드 유닛을 통해 별도의 차량을 신규로 구입하지 않아도 원하는 비즈니스 형태에 따라 차체에 변화를 줄 수 있다. 

기아 PBV의 다품종 소량생산 생산체계를 이끌 ‘다이나믹 하이브리드’ 기술도 눈길을 끈다. 다이나믹 하이브리드는 고객의 다양한 요구에 맞춰 차체 크기나 높이 등을 기호에 맞게 조정할 수 있게 하는 기술이다. 향후 본격화될 다품종 소량생산에 대응할 수 있는 수평·수직적 확장이 가능한 조립방식으로 꼽힌다. 

기아는 PBV를 통한 모빌리티 생태계를 새롭게 구성하기 위해 우버, 쿠팡, CJ대한통운, 카카오모빌리티 등의 기업과 파트너십을 맺고 PBV 전용 사업 체계를 더욱 강화할 계획이다. 아울러 모셔널과 함께 레벨 4 수준의 자율주행이 가능한 PBV 로보택시도 개발할 예정이다. 

송호성 사장은 “PBV가 모빌리티의 표준이 되는 시대를 맞이하게 될 것”이라며 “기아는 일하고 이동하는 방식, 나아가 삶의 방식을 변화시키기 위해 존재하는 모든 영감을 받아들이고 실행시킬 준비가 되어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