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택시장에도 날씨처럼 한파가 불어닥치고 있다.
추석 이후 아파트 거래량은 연초 수준으로 크게 줄었고 지난 10월 서울 아파트 실거래가지수는 올들어 처음 하락 전환했다.
일각에서는 올해 반등세로 돌아섰던 아파트값이 작년에 이어 '2차 조정기'에 접어든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오는 상황이다.
17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지난 10월 서울 아파트 실거래가지수는 전월 대비 0.08% 떨어지며 올해 들어 처음으로 하락 전환했다.
실거래가지수는 호가 중심의 가격 동향 조사와 달리 실제 거래가격을 이전 거래가와 비교해 변동 폭을 지수화한 것이다.
서울 아파트 실거래가지수는 집값이 약세를 보인 지난해 22.07% 하락했으나, 올해 1월부터 상승세로 돌아서 9월까지 13.42%가 올랐다. 1.3 대책 등 연초부터 이어진 정부의 부동산 규제완화책이 결정적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서울 강남 등 일부 아파트값이 전고점 대비 80∼90%대까지 오르는 등 고점 인식이 확산하고, 고금리 장기화 속에 정부가 9월 말 6억∼9억원 이하 특례보금자리론 일반형 대출을 전격적으로 중단하면서 10월부터 시장의 매수심리가 급격히 위축되는 양상이다.
권역별로 강남4구가 있는 동남권이 가장 큰 폭(-0.65%)으로 떨어져 지수 하락을 주도했다. 전고점 임박 단지가 많은 강남권에서 실거래가 하락 폭도 크다는 분석이다.
이런 분위기는 전국에서 동시다발적에서 목격된다. 올해 2월부터 상승세를 보이던 수도권과 지방 아파트 실거래가지수는 지난 10월에 각각 0.26%, 0.12% 떨어지며 9개월 만에 하락 전환했다.
이에 따라 전국 아파트 실거래가지수도 0.20% 떨어지며 1월(-0.74%) 이후 처음으로 지수 하락을 보였다.
경기도와 인천의 실거래가지수는 전월 대비 각각 0.35%, 0.29% 내려 서울보다 낙폭이 컸다.
실거래가 하락은 11월에도 이어진 것으로 보인다. 한국부동산원이 집계한 전국 및 서울 아파트 11월 실거래가지수 잠정변동률은 전월 대비 각각 0.64%, 1.51% 내려 두 달 연속 하락세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됐다.
시장 침체는 거래량 감소로 이어지면서 더욱 가격하락을 부추기는 양상이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 집계를 보면 10월 서울 아파트 거래량(신고 기준)은 2천313건으로 올해 1월(1천412건) 이후 9개월 만에 최저를 기록했고, 11월 거래량도 16일 현재 1천672건에 그치며 10월보다 감소할 전망이다.
11월 아파트 계약분은 신고 기한이 이달 말까지로, 지금과 같은 추세면 거래량이 2천건에도 못미칠 가능성이 있다.
매수세 위축으로 현재 시장에는 집주인들이 호가 대비 5천만∼2억원 이상 가격을 낮춘 급매물을 내놓고 있지만 그래도 잘 팔리지 않는다는 게 현장의 목소리다.
이에 따라 직전 거래가 대비 하락 거래도 늘어나고 있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노원구 상계동 상계주공16차 전용면적 59.39㎡는 지난달 중순 5층이 4억원에 팔린 것으로 신고됐다. 특례보금자리론 대출이 가능한 아파트로, 지난 9월에는 6층이 6억2천500만원에 팔린 것과 비교해 두달 새 1억7천500만원이 하락한 것이다.
송파구 잠실동 리센츠 아파트 전용 84.99㎡는 지난 10월 25억∼25억9천만원에 팔렸으나, 지난달에는 이보다 1억3천만원 이상 낮은 23억7천만∼24억1천만원에 계약이 됐다.
송파구 잠실동 아시아선수촌 전용 99.39㎡도 지난 9월에는 거래가가 30억9천만원까지 올랐으나, 지난달에는 9천만원 싼 30억원에 팔렸다.
전문가들은 당분간 주택시장에 침체가 이어지며 집값 하락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한다.
한 증권사 관계자는 "현재 대출금리가 5%대까지 높아진 상황에서 금리 인하 전까지 매수자들이 관망할 수밖에 없다"며 "당분간은 시세보다 싼 급매물만 일부 거래되고 호가도 하락할 것"으로 예상했다.
일각에서는 집값이 지난해에 이어 본격적인 2차 조정기에 돌입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현재 건설과 금융시장을 압박하고 있는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폭탄도 변수다.
다만 집값이 조정기를 거치더라도 지난해만큼 큰 폭의 하락은 없을 것이라는 전망도 있다. 특례보금자리론은 내년 1월에 전면 중단되지만, 내년 1월부터 신생아 출산가구 대출 등 또 다른 정책 대출이 시작돼 급락이 이뤄지지는 않을 것이라는 예상이다.
KB국민은행 박원갑 수석부동산전문위원은 "금리 인하를 기다리는 매수자들이 관망하며 내년 1분기까지 아파트값이 하락하고, 2분기에 약보합세를 보이다가 7월 이후 다시 반등할 가능성이 있다"며 "내년 '상저하고' 전망 속에 당분간은 소박스권 장세가 나타날 것"이라고 말했다.
반면 한문도 서울사이버대학교 부동산학과 교수는 "정부의 내년 1월 신생아 대출의 효과가 4개월 정도 계속될 수 있지만 내년 하반기로 가면 정말 최악의 경우가 또 나올 수 있다"며 추가 하락을 경고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