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야가 인천공항공사와 한국공항공사 등을 대상으로 한 국정감사에서 최근 잇달아 발생한 인천공항과 김포공항의 보안 실패에 대해 질타했다. 또 공항을 통해 마약 밀반입 사례가 늘어나는 현상에 대한 대책 마련 주문도 나왔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국토위)는 25일 인천시 중구 인천국제공항공사 청사에서 인천공항공사, 한국공항공사, 항공안전기술원, 국립항공박물관에 대한 국정감사를 진행했다. 여야 의원들은 실탄 반입 승객과 항공기 비상문 무단 개방 등 연이어 발생한 항공 부문 보안 실패에 대해서 입을 모아 질책했다.
권영세 국민의힘 의원은 “국내 공항의 항공 보안사고가 2018년부터 3년간은 19건에 불과했지만 올해는 벌써 30건이 발생했다”며 “특히 한국공항공사 사장의 취임 이후 1년 6개월 사이에 전자충격기 반입이 5건이나 집중적으로 발생했다. 잇따른 보안 사고에 대해 책임을 느껴야 한다”고 질타했다.
이에 윤형중 한국공항공사 사장은 “현장에서의 기강해이나 보안감독 미흡 사례에 대해 심각하게 인식하고 있다”며 “항공보안을 제로베이스에서 리셋한다는 차원에서 마스터플랜을 만들어 시행하고 있다”고 답했다.

심상정 정의당 의원은 올해 3월 인천공항 제2여객터미널을 출발해 마닐라로 가려던 대한항공 KE621편에 9㎜ 실탄 2발을 반입한 70대 미국인 남성 A씨가 탑승한 사건에 대해 언급했다.
심 의원은 “세계 최고 서비스 공항으로서의 위상이 근본적으로 흔들리는 사건”이라며 “원인이 무엇인가? 자료에 보니 판독미흡이라고 돼 있는데, 사람이나 기계 문제인가”라고 물었다.
이학재 인천국제공항공사 사장은 “두 가지 다 원인이었다고 본다”며 “사람은 판독 관련 교육훈련 문제가 있었고, 기계도 고도화할 필요가 있다”고 답했다.
심 의원은 “공사 제출자료를 찾아보니 보안을 책임지는 인천공항 보안 정원이 3619명인데 사고가 났던 3월 실제 근무인원은 18% 부족한 3026명이었다”며 “코로나 시기 인건비 절감을 위해 결원이 생겨도 보충하지 않고 버티다가 이용객이 급증한 상태에서 모자란 인원으로 급하게 검색하다가 사고가 난 것 아닌가”라고 지적했다.
맹성규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항공보안 관련 사고가 많이 일어나는데, 실제 조사하면 보안검색대 통과로 확인 시 보안검색요원이 책임져야 한다”며 “그런데 이건 현장에서 아무리 제도개선을 해도 근본적인 개선이 이뤄지지 않으면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강조했다.
민홍철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사고가 나면 대책을 세워야 하는데 처벌 위주로 가고 있다”며 “두 공항공사에서 지난해와 올해 보안사고가 많이 났는데 형평성에 안 맞는다. 한국공항공사는 감사하고 경영진 책임을 물으려 하고, 인천국제공항공사는 감사조차 하지 않고 있다. 물론 수사의뢰는 했다. 형평에 안맞는 처리”라고 꼬집었다.
정용식 국토부 종합교통정책관은 “너무 집중적으로 사고가 많이 나서 강한 대처를 하려고 한 것”이라고 답했다.
서일준 국민의힘 의원은 항공기 비상문 무단 개방에 대한 대책을 주문했다. 서 의원은 “공중에서 항공기 출입문이 개방된 사례는 세계적으로 봐도 유례가 없는 사건”이라며 “이런 사고가 또 발생할 수 있는 만큼 국토부 차원에서 확실한 대책 마련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마약류 반입을 막을 수 있도록 두 공항공사가 자체적인 단속 강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왔다. 김학용 국민의힘 의원은 “두 공항공사에서 보안검사를 할 때 마약류는 별도로 검색하지 않는다”며 “올해 9월까지 30건 이상의 마약이 적발됐고 양도 많이 늘었다. 공사에서 자체적으로 특단의 대책을 세워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학재 인천공항공사 사장은 “공항공사에서 무기나 폭발물 등을 검색하고 있어서 더 철저히 해서 마약까지 단속할 수 있도록 세심한 주의를 기울이겠다”며 “세관과도 긴밀히 협조하겠다”고 답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