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지홍 국토교통부 철도국장은 “KTX 세종역 설치를 하지 못하는 것은 검토결과 입지상 안정성에 다소 문제가 있는데다 경제성 역시 낮게 나타났다"고 18일 밝혔다.
국회에서 열린 국토교통위원회의 한국철도공사와 SR, 국가철도공단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교통대책을 잘못 수립한 도시가 세종시라는 지적한 국민의힘 김희국 의원에 이같이 답변했다.
김 의원은 "세종시는 신도시를 조성하면서 중장기적 차원에서 교통대책이 수립됐어야 하는데 그렇치 못해 혼선이 초래됐다"며 "시민들은 고속열차를 이용하려면 버스를 타고 오송역까지 가야하는 불편을 겪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박 국장은 "대전과 세종, 충북으로 연결되는 충청권 광역철도가 신설되면 기존 경부선을 이용해 세종에서 서울로 접근성이 개선될 것으로 보인다"며 "사업수행을 위한 재정검토는 물론 민자사업 검토 역시 고려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국토부는 앞서 '철도 민간투자 사업제안에 대한 업무처리 지침'을 개정해 민간 사업자가 최초제안서를 제출하기 전에 사전타당성 조사수준의 사업의향서를 보내면 내부심의를 거쳐 투자 우선순위를 판단한다는 계획이다.
박 국장은 "사업의향서에는 현재 총 7건이 제출된 가운데 한 달여 정도 검토한뒤 우선 추진여부를 결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키워드
#이코노믹리뷰 #KTX 세종역 #한국철도공사 #SR #국가철도공단 #김희국의원 #세종시 #정부세종청사 #오송역 #충청권 광역철도 #철도 민간투자 사업제안 #사업타당성 #사업의향서 #대전시 #충북도 #박지홍 #국토교통위원회 국감 #BRT #경부선 #민자사업 #국토교통부
윤국열 기자
kyyun33@econovill.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