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마을금고가 올 상반기 1200억 원대의 당기순손실을 기록하며 적자 전환했다. 부동산 경기가 꺾여 빚을 제때 갚지 못하는 기업이 늘면서 연체율은 6개월 사이 2%포인트 가까이 올랐다.
금융위원회와 행정안전부는 31일 새마을금고의 2023년 상반기 영업실적(잠정)을 발표했다.
주무부처인 행정안전부는 앞으로 연 2회 영업실적을 발표, 새마을금고의 경영상황을 투명하게 공개하겠다는 계획이다. 건전성 등에 대한 시장의 우려가 여전한 만큼 이를 불식시키려는 차원이다.
발표에 따르면 새마을금고의 상반기 당기순손실은 1236억 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에는 상반기 6783억 원, 하반기 8790억 원의 순이익을 냈는데 올 들어 적자로 돌아섰다. 적자 전환은 금리인상에 따른 이자비용 증가와 대출연체 발생에 따른 대손충당금 적립 등으로 수익구조가 크게 악화됐기 때문이다.
새마을금고의 대출 연체 수준을 보면 상반기 전체 연체율은 5.41%로 지난해 말 대비 1.82%포인트 올랐다. 특히 기업 대출 연체율이 8.34%로 6개월 새 2.73%포인트 급등하면서 전체 연체율을 끌어올렸다. 새마을금고의 기업 대출이 건설 부동산 부문에 쏠린 상황에서 건설 경기가 침체되자 연체율이 급등했다. 가계대출 연체율은 1.57%로 지난해 말 대비 0.42%포인트 올랐다.
상반기 대손충당금 적립률은 105.49%로 전년 말보다 0.46%포인트 감소했다. 자본 적정성을 가늠할 수 있는 순자본비율도 8.29%로 같은 기간 0.27%포인트 줄었다. 순자본비율은 총자산에서 대손충당금을 더한 뒤 부실채권액을 뺀 값을 순자본으로 나눈 것이다. 여전히 규제 값(4%)을 크게 웃돌고는 있지만 금고의 위기 흡수 능력이 이전보다 약화됐다.
고정이하여신비율은 작년 말 대비 2.42%p 상승한 5.47%, 요적립액 대비 대손충당금 적립률은 0.46%p 감소한 105.49%였다. 순자본비율의 경우 8.29%로 지난해 말(8.56%)보다 소폭 하락(0.27%)했으나, 최소규제비율(4.00% 이상) 대비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
다만 정부는 하반기 이자비용이 줄고 연체율 급등세가 진정되면서 재무 상황이 안정될 것으로 내다봤다.
정부는 새마을금고가 올 7월 1483억 원(잠정치)의 순이익을 거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상반기 적자분을 메우고도 남는 순익을 한 달 만에 거둔 것이다. 지난달 뱅크런(대규모 예금 인출) 우려가 제기되면서 새마을금고 수신 17조 원이 빠져나갔는데 상당액이 고원가성 수신이라 이자비용이 크게 줄어든 영향이다. 최근 연체율 관리에 나선 덕분에 7월 말 기준 전체 연체율도 5.31%로 전달 대비 0.1%포인트 하락한 것으로 정부는 보고 있다.
정부는 하반기 내 최대 3조 원 규모의 연체 채권도 매각해 연체율을 더 낮추기로 했다. 올 하반기 최대 3조원 규모(MCI대부 최대 1조원·캠코 최대 2조원)를 목표로 금고의 연체채권 매각을 추진하는 한편, 금고의 연체채권 대손상각도 유도한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금고들만으로 거액의 기업대출을 취급하는 일도 막는다. 지금까지는 금고들만으로 거액의 기업대출을 취급할 수 있었으나 앞으로는 새마을금고 중앙회와 연계한 경우만 허용한다. 금고의 부동산·건설업 기업대출의 대손충당금 적립비율은 현행 100%에서 130%로 확대해 손실 흡수 능력을 높일 방침이다
또한 중앙회 조직개편, 전문인력 확충 등을 통해 중앙회의 여신심사·감독 기능을 강화할 예정이다. 금고의 규제 회피가 예상된다는 점에서 고의 우회대출 실태, 건전성 관리 현황을 정기적으로 점검하는 등 사후관리도 꼼꼼히 하겠다고 설명했다.
고기동 행안부 차관은 "범정부적으로 건전성 관리를 강화해 금고가 외형 위주 성장전략에서 벗어나 건전하고 내실있는 서민·지역금융 본연의 역할에 더욱 충실할 수 있도록 노력 중에 있다"면서 "예적금 등 고객의 자산은 어떠한 경우에도 온전하게 보장되는 만큼, 안심하고 새마을금고를 이용해 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