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 총파업 이틀째인 14일 오후 서울 영등포구 보건의료노조에서 나순자 위원장 등 노조 조합원들이 향후 총파업투쟁계획 발표 기자브리핑을 하고 있다. 출처=연합뉴스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 총파업 이틀째인 14일 오후 서울 영등포구 보건의료노조에서 나순자 위원장 등 노조 조합원들이 향후 총파업투쟁계획 발표 기자브리핑을 하고 있다. 출처=연합뉴스

간호인력 확충과 공공의료 강화 등을 촉구하며 13~14일 이틀간 파업을 벌인 보건의료노조가 이틀 만에 총파업을 종료했다.

보건의료노조는 이날 서울 영등포구 보건의료노조 생명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산별총파업을 종료하고 현장교섭·현장투쟁으로 전환한다고 밝혔다. 노조는 이날 오후 5시 총파업을 종료했다.

나순자 보건의료노조위원장은 "이틀 간의 총파업을 일단 종료하고 현장교섭·현장투쟁으로 전환하기로 대승적 결단을 내렸다"며 "이후 추가로 심도깊은 정책협의를 통해 구체화 할 것"이라고 말했다.

나 위원장은 "환자 불편이 지속되는 것과 파업이 장기화될 시 환자안전에 심각한 우려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점과 파업 기간에도 노정 간 대화가 진행한 결과"라며 "미세하게 남은 몇 가지 쟁점 자체가 단순하게 언제 시행한다고 확정하기 어려운 정책의제라는 점 등을 고려했다"고 총파업 중단 이유를 설명했다.

노조는 "복지부와 남은 쟁점에 대한 협의를 계속 진행해 의미 있는 대안이 마련되지 않을 경우 제2의 산별총파업투쟁에 나설 것"이라며 "현장교섭을 조속히 타결해 환자 진료 정상화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광주·전남 지역 병원의 현장 파업은 내주까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