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3월부터 약 15개월간 10차례 연속 금리를 올렸던 미국 중앙은행 연방준비제도(연준·Fed)가 14일(현지시간) 기준 금리를 동결했다.
그러나 연준은 올 하반기에 금리를 추가 인상하는 매파적 입장을 강력 시사했다.
연준은 이날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직후 성명을 통해 만장일치로 기준 금리를 5.00~5.25%로 유지키로 했다고 발표했다.
연준은 성명에서 "목표 금리를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추가 정보 및 이 정보의 정책 함의에 대해 위원회가 평가할 수 있을 것"이라면서 "위원회는 인플레이션을 2% 목표로 되돌리기 위해 강력하게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번 금리 동결은 일시적인 조치로, 물가 상황에 따라 추가적인 금리 인상이 가능하다는 의미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도 기자회견에서 "인플레이션 압력이 여전히 높은 상태"라며 "거의 모든 (FOMC) 위원들이 올해 중 추가 금리 인상이 적절할 것 같다는 견해를 보였다"고 말했다.
또 "연내 금리 인하를 예상하는 위원은 없다. 연내 금리 인하를 하는 것은 부적절하다"면서 물가 안정을 최우선 순위에 둘 것임을 분명히 했다.
앞서 연준은 지난해 3월부터 지난 5월까지 10회 연속으로 금리를 인상했다. 지난해 6·7·9·11월에는 4차례 연속 ‘자이언트 스텝’(0.75%포인트 인상)을 밟았다.
이에 따라 작년 3월 이전에 사실상 제로(0) 수준이었던 기준금리는 2007년 이후 가장 높은 수준까지 올라갔다. 금리 인상 속도도 1980년대 이후 가장 빠른 수준이었다.
그러나 5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가 2년 2개월 만에 최소폭(4.0%)으로 상승한 것으로 나타나는 등 인플레이션 둔화세가 계속되고, 고용시장의 과열 분위기도 진정되는 모습을 보이면서 연준이 이번 FOMC에서 금리를 동결할 것이란 전망이 많았다.
다만 인플레이션이 목표치를 상회하고 근원 CPI가 아직 높다는 점에서 시장에서는 7월에 베이비스텝(0.25포인트 인상)을 밟을 가능성도 제기됐다.
연준이 공개한 '점도표'에서는 올해 말 금리 예상치(중간값)가 5.6%로 제시됐다. 이는 3월 전망치(5.1%)보다 높은 것으로, 베이비스텝 기준으로 올 하반기에 두 번 정도 금리를 인상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점도표에서는 내년 말 기준 금리 전망치(중간값)는 4.6%, 2025년말 전망치는 3.4%를 각각 기록했다.
FOMC 18명의 위원 중 9명이 올해 말 금리를 5.5~5.75%로, 2명이 5.75%~6.00%로 전망했다. 6.00~6.25%를 꼽은 위원도 1명이 있었다. 현 수준으로 제시한 한 위원은 2명뿐이었다.
한편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에 이어 연준도 기준금리를 동결하면서 한미간 금리 격차는 미국 기준금리 상단을 기준으로 기존 1.75%포인트(한국 3.50%·미국 5.00%~5.25%)로 유지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