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사태 예측정보가 기존 24시간에서 48시간 전까지로 확대 제공될 전망이다.
산림청은 12일 정부대전청사에서 ‘2023년 전국 산사태 방지대책’을 발표한 가운데 이날 오후에는 17개 시·도 지방자치단체와 행안부, 국토부 등 유관기관 관계자 4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2023년 전국 산사태 방지 관계관 회의’를 진행한다.

이번 산사태 방지대책의 주요 전략은 ▲과학적 산사태 대비·대응기반 마련▲산사태 취약지역 등 위험지역 점검·관리 강화▲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한 산사태 피해지 조사·복구▲기후변화에 대비한 법·제도 정비 등 4가지다.
산림청은 산사태 예측정보를 기존 24시간에서 48시간 전까지로 확대 제공하는 한편 타 부처에서 관리중인 재해 위험성이 높은 사면정보 4만 8000건을 산사태정보시스템에 연계해 위험지 관리를 강화한다는 전략이다.
또 산사태 피해지 정보를 전자지도로 제작하는 동시에 산림재난방지법을 제정해 산불을 포함해 산사태, 산림 병해충 등 통합관리에 나선다.
이를 위해 언제·어디로 대피해야 하는지 등 국민 행동요령을 제작해 안내하는 한편 안전·재난 문자도 전국 지자체가 통일된 문구를 활용하도록 정비한다는 계획이다.
남성현 산림청장은 “숲가꾸기로 산사태에 강한 건강한 숲을 조성하는 동시에 과학적 기반의 사전예방과 신속한 대응·복구에 나서 산사태 피해 최소화에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키워드
#이코노믹리뷰 #산사태 예보 #산사태 #산사태정보시스템 #사면정보 #산림재난방지법 #숲가꾸기 #남성현청장 #산림병해충 #산불 #전자지도 #정보통신기술 #산사태 취약지 #지방 #전자
윤국열 기자
kyyun33@econovill.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