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포스코홀딩스가 국내 기업 최초로 이차전지소재의 핵심 원료 중 하나인 니켈을 해외에서 직접 생산할 계획이다.
포스코홀딩스는 세계 1위의 니켈 보유·생산국으로 꼽히는 인도네시아에 니켈제련공장을 신설하기로 결정했다고 3일 밝혔다.
니켈제련공장은 니켈을 함유한 광석을 녹여 이차전지소재를 만드는데 쓸 수 있는 중간재를 생산하는 공장이다. 니켈은 전기차 배터리의 성능과 용량을 좌우하는 요소다. 전기차 시장 성장세에 비례해 니켈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제련은 열이나 전기, 화학적 방법 등을 이용해 광석에서 금속을 추출하는 작업을 의미한다.
포스코홀딩스의 니켈제련공장은 인도네시아 할마헤라(Halmahera) 섬 웨다베이(Wedabay) 공단에 들어설 예정이다. 포스코홀딩스는 공장에서 연간 5만2000톤(니켈 함유량 기준) 규모의 니켈 중간재(니켈매트)를 생산할 계획이다. 이는 전기차 100만대를 만들 수 있는 양이다. 포스코홀딩스는 4억4100만달러(약 5900억원)을 투자해 연내 착공하고 2025년부터 상업생산을 개시할 계획이다.
포스코홀딩스는 인도네시아에 매장된 자원의 규모와 해외 투자 유치를 유도하는 현지 정책을 고려해 공장 설립을 결단했다. 인도네시아 정부는 니켈 관련 산업을 발전시키려는 취지로 세제 혜택과 산업공단 인프라 등을 지원하며 외국 자본을 유인하고 있다.
포스코홀딩스는 인도네시아 공장을 활용해 니켈 중간재의 효율적 생산체제를 구축하고, 니켈광산·제련사업 등에 합작 투자해 글로벌 니켈 공급망을 안정화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그룹 내 이차전지소재 원료의 자급력을 한층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한편 포스코그룹은 뉴칼레도니아 원료법인 니켈 마이닝 컴퍼니(NMC)로부터 니켈 광석을 공급받아 국내에서 고순도 니켈을 생산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현재 광양에 연산 2만톤 규모의 이차전지용 고순도 니켈공장을 짓고 있다.
앞서 지난 2021년에는 호주 니켈 광산·제련 업체인 레이븐소프(Ravensthorpe Nickel Operation)의 지분 30%를 인수해 호주산 니켈 공급망을 확보했다. 향후 광양에 위치한 포스코HY클린메탈 사업장을 통해 폐배터리 리사이클링, 중국 절강화포(합작사) 전구체 생산 등 작업을 진행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오는 2030년까지 니켈 22만톤을 확보할 예정이다.
포스코홀딩스는 “이차전지소재 및 리튬·니켈 등 핵심사업을 차질없이 수행해 ‘친환경 미래소재 대표기업’으로 자리매김하고 그룹의 미래를 선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