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온은 확장성이 높아 리튬이온 배터리를 대체할 기술로 주목받고 있는 차세대 전고체 배터리의 연구개발 인프라 강화를 위해 대전 배터리연구원에 총 4700억원을 투자한다.

24일 대전시에 따르면 SK온과 이날 대전시청 중회의실에서 투자유치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대전시는 24일 SK온과 대전시청 중회의실에서 기업투자 업무협약식을 체결했다.출처=대전시
대전시는 24일 SK온과 대전시청 중회의실에서 기업투자 업무협약식을 체결했다.출처=대전시

SK온은 오는 2025년까지 총사업비 4700억원을 들여 대전 유성구 원촌동에 있는 연구원 시설을 확장한다고 밝혔다.

특히 차세대 배터리 파일럿 플랜트와 글로벌 품질관리센터를 신설하고 연구원내 기존 부지를 활용해 연면적 7만 3400㎡ 규모로 신·증축에 나선다는 구상이다.

작년 7월부터 연구원 부지내 제2 충방전동을 비롯해 제2 연구동, 화성동 등을 증축중인 가운데 올해 하반기 완공을 눈앞에 두고 있으며 차세대 배터리 파일럿 플랜트는 내년 상반기 완공을 목표로 지난해 12월 착공한 바 있다.

SK온은 내년 하반기에 전고체 배터리 시제품을 개발해 오는 2028년 상용화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내년 하반기 완공 예정인 글로벌 품질관리센터는 국내 배터리 품질 관리를 담당하게 된다.

시는 SK온 이번 연구시설 확충으로 약 400개 넘는 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SK온도 인프라 확충을 통해 수주 경쟁력을 확보하는 한편 차세대 배터리 개발에 박차를 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향후 대전 배터리연구원과 오는 2027년 구축 예정인 부천 SK그린테크노캠퍼스를 양대 축으로 핵심 기술력을 육성한다는 전략이다.

이장우 대전시장은 "SK온의 원활한 투자 진행을 위해 시가 적극 행정지원에 나서 지역 산업 발전과 지역주민 우선 채용에 주력하겠다"고 강조했다.

지동섭 SK온 사장은 "이번 연구개발 인프라 확충으로 SK온의 기술개발 경쟁력은 강화될 것"이라며 "지역경제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로 연결되도록 시와 협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