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침체가 길어지자 건설사들의 부실 위험이 늘어나고 있다.

한국은행은 23일 발표한 금융안정상황 보고서에서 상장 건설사 72곳을 분석한 결과 1년 안에 만기가 돌아오는 부채가 현금화 가능 자산보다 많은 유동성 우려 기업 비중이 18.1%라고 설명했다. 1년 전 13.3%보다 늘어난 규모다.

이 가운데 32개사가 부동산 투자 사업에 보증을 섰는데 3곳은 관련 금액이 자기자본의 2배가 넘었다. 중도금대출보증 등 다른 채무보증을 더하면 5개사는 우발 채무가 자기자본의 약 5배다.

이런 가운데 미국 연준의 금리 발표 뒤 이날 오전 비상거시경제 금융회의를 주재한 추경호 경제부총리는 "부동산 사업장 등에서 위험이 불거지지 않도록 철저히 관리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금융권도 불확실성에 대비해 철저한 위험 관리와 함께 충분한 충당금 적립 및 자본 확충 등 손실 흡수 능력을 제고해야 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