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부동산업 신규 창업이 크게 줄면서 전체 창업 기업수는 2021년보다 10만여 개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3일 중소벤처기업부가 발표한 ‘2022년 창업기업 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전체 창업은 글로벌 경기침체가 지속되면서 전년보다 7.1%(10만 494개)가 줄어든 131만 7479개로 집계됐다.

이는 부동산업 신규 창업이 전년대비 11만 1623개(35.2%)가 대폭 감소한 것이 전체창업 감소의 주된 요인으로 풀이된다. 다만 부동산업을 제외하면 지난해 창업은 2021년 대비 1만 1129개(1.0%)가 증가했다.
업종별로 보면 도‧소매업(7.3%↑), 농‧임‧어업 및 광업(12.9%↑), 교육서비스업(4.3%↑), 예술‧스포츠‧여가업(6.6%↑) 등은 전년대비 창업기업 수가 늘었다.
하지만 금리인상을 비롯해 글로벌 공급망 차질, 소비자 물가상승 등의 영향으로 제조업(13.3%↓)을 포함해 금융‧보험업(21.2%↓), 건설업(5.9%↓)관련 창업은 감소했다.
지난해 기술기반 창업은 22.9만개로 전년대비 4.3% 줄었다. 이는 지난해 역대 최고실적(24만개)을 기록한 것과는 달리 기저효과와 경기침체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분석됐다.
키워드
#이코노믹리뷰 #창업기업 #부동산업 #경기침체 #금리인상 #글로벌 공급망 #물가상승 #금융보험업 #창업 #기조효과 #교육서비스업 #도소매업 #기술기반창업 #중기부 #스타트업 #상가 #송파구 #부동산 #중소벤처기업부 #소비자
윤국열 기자
kyyun33@econovill.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