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황근 농식품부 장관이 식품업체들과 물가안정 간담회를 개최했다. 사진=농림축산식품부.
정황근 농식품부 장관이 식품업체들과 물가안정 간담회를 개최했다. 사진=농림축산식품부.

농림축산식품부와 주요 식품업계 대표들이 ‘국민 밥상 물가 안정’을 위해 머리를 맞댔다. 

농림축산식품부는 28일 정황근 장관 주재로 식품업체와 물가안정 간담회를 갖고 ‘가공식품 가격 인상 자제’를 요청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CJ제일제당, 오뚜기, 농심, 롯데제과, 동원F&B, SPC, 오리온, 삼양식품, 해태제과, 풀무원식품, 동서식품, 매일유업, 한국식품산업협회 등이 참석했다. 

앞서 지난 15일 대통령 주재 비상경제민생회의에서도 물가안정 관련 논의가 있었다. 이자리에서 관계부처 장관들은 물가안정 방안에 대해 논의 했고 그에 따라 최근 고공행진을 이어가고 있는 가공식품 물가안정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이번 간담회를 마련하게 됐다고 농식품부는 밝혔다.

국제 곡물가격은 지난해 5~6월을 최고점으로 하락세로 전환됐고 환율은 지난해 10월 최고점 이후 다소 완화됨에 따라 최근 소비자물가지수 상승세는 둔화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가공식품 물가는 지난해 12월부터 10.3%대의 높은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 

그동안 정부는 식품업계의 제조비용 부담 완화를 위해 주요 식품원료에 대한 할당관세 연장 적용, 의제매입세액 공제한도 확대, 밀가루 가격안정사업 등을 추진해왔다. 최근에는 콩, 팥 직배가격도 올해 6월까지 동결하기로 결정했다.

정황근 녹식품부 장관이 식품업계 간담회 개최 취지를 밝히고 있다. 사진=이코노믹리뷰 이솜이 기자.
정황근 녹식품부 장관이 식품업계 간담회 개최 취지를 밝히고 있다. 사진=이코노믹리뷰 이솜이 기자.

정황근 농식품부 장관은 “최근 식품물가를 엄중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정 장관은 “서민이 직접 몸으로 느끼는 식품물가 조기 안정화를 위해 정부와 식품업계가 더욱 노력하는 모습을 보여줄 필요가 있다”며 “올해 상반기 중에는 식품업계가 가격 인상을 자제하는 등 최대한 물가안정을 위해 협조해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그러면서 “식품업계와 지속적인 소통을 통해 할당관세 적용품목 추가 발굴 등 식품업계 비용부담 완화를 위한 정부 역할도 계속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식품업계 “식료품 가격 인상 자제해 보겠다”  

간담회에 참석한 식품업체들은 고물가 시기에 민생부담 완화를 위해 가공식품 물가안정에 적극적으로 협조하겠다고 화답했다.

실제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관계자는 “정부는 (식품)기업들이 글로벌 원재료 인상으로 어려운 상황에 놓였다는 것을 인지하고 있다”면서 “(다만 고물가로 인해) 서민들이 힘들어 하는 만큼 최대한 기업들도 어려움을 함께 나누자는 이야기가 나왔다”고 전했다.

관계자는 이어 “기업들은 최대한 내부적으로 (가격인상 요인을) 흡수하고 식료품 가격 인상을 자제해 보겠다는 의지를 전달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