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27일 오후 국회에서 열린 본회의에서 본인의 체포동의안 상정에 대한 신상발언을 마친 뒤 민주당 의원들과 대화하고 있다.  출처=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27일 오후 국회에서 열린 본회의에서 본인의 체포동의안 상정에 대한 신상발언을 마친 뒤 민주당 의원들과 대화하고 있다.  출처=연합뉴스

대장동 개발 비리와 성남FC 불법 후원금 의혹 등으로 구속영장이 청구된 민주당 이재명 대표에 대한 체포 동의안이 27일 국회 본회의에서 부결됐다.

국회 회기 중 체포되지 않는 불체포 특권이 발동됨에 따라 이 대표는 일단 구속 수사를 피하게 됐다.

하지만 당초 예상과 달리 민주당 내에서 이탈표가 무더기로 나오면서 이 대표의 향후 리더십은 상당한 타격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민주당은 이날 소속 의원 169명 전원이 표결에 참여했고 무소속 윤미향 의원까지 합하면 부결이 최소 170표는 나올 것으로 낙관했었다. 하지만 뚜껑을 열어본 결과는 완전히 달랐다.

찬성 139, 반대 138, 기권 9, 무효 11표였다. 기권과 무효, 반대를 다 합하면 158표로 기권 무효 표가 모두 민주당 표라고 해도 이 대표 체포에 찬성한 민주당 의원이 최소한 11명은 된다는 얘기다.

이날 표결에 참석한 의원은 297명으로 체포동의안 가결을 위한 숫자는 149표였다. 10표 차이로 이 대표는 체포를 면했지만 민주장이 이 대표의 ‘방탄 정당’이 되는 것을 더 이상 볼 수 없다는 생각이 민주당 내에서 점차 확산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다.

특히 지난해 12월 민주당 노웅래 의원 체포동의안 부결 당시 반대표가 161표였다는 점을 감안하면 이날 표결 결과는 매우 이례적이다.

민주당 비명계 의원을 중심으로 제기되던 ‘표결 후 이 대표의 사퇴론’ 이 더욱 힘을 얻게 됐고 그 만큼 이 대표의 입지도 좁아질 수밖에 없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검찰이 이번 체포동의안 부결에도 불구하고 쪼개기 영창 청구를 할 경우 2,3차로 체포동의안이 국회에 다시 접수될 가능성도 있다.

이번 구속영장 청구에서 빠진 쌍방울 대북송금 사건 수사가 이 대표를 정조준하며 속도를 내고 있는 것도 예사롭지 않다.

검찰은 “구속 사유가 충분한데도 체포동의안이 부결돼 유감”이라는 입장을 발표했다.

이 대표 뿐 아니라 민주당의 향후 행보도 주춤해질 수밖에 없을 것으로 보인다.

당초 민주당은 체포동의안 부결 후 대여공세와 민생 드라이브로 방탄 후폭풍을 벗어나겠다는 계획이었으나 이날 표결 결과로 상당히 동력을 잃을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민주당 지지율까지 심상찮은 상황에서 당분간 당내 분열과 혼란은 불가피해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