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이하 국표원)이 80여개국이 참여한 가운데 우리나라 주도로 넷제로(Net Zero) 에너지 이행 가이드 국제표준을 최초로 개발했다고 22일 밝혔다.
넷제로는 온실가스 배출량(+)과 흡수량(-)을 같도록 해 순 배출을 0(Zero)으로 만드는 것을 뜻한다.
우리나라는 탄소배출에서 에너지 부문이 87%를 차지할 정도로 압도적이다. 이에 따라 탄소중립을 실현하려면 에너지 부문 넷제로화가 필수다.
산업부는 현재 탄소중립, 온실가스 감축량 원격검침 등 산업환경 분야 국제표준화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넷제로 에너지 표준을 제정했다고 설명했다. 이번 국제표준 개발로 앞으로 기업들이 탄소중립을 이행하기 위해 넷제로 에너지를 구현하는 활동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표준은 공장과 건물 등 기업활동에 대한 넷제로 에너지의 범위 및 기준연도, 에너지 효율 관리, 신재생에너지 적용 같은 원칙을 제시했다.
기업이 먼저 설계단계에서 최적의 에너지 공급 및 수요계획을 수립하고, 이후 효율적인 에너지 관리와 신재생에너지 생산대체 등으로 에너지 절감 및 탄소 배출량 감축 목표를 포함한 넷제로 에너지 성과지표를 제시함으로써 탄소중립을 실현할 수 있다.

한편 국표원은 22일 한국에너지공단, 산학연 전문가 등이 참여한 ‘에너지 효율관리 표준화 간담회’를 개최해 제정표준의 현장 적용 방안과 국내 기업의 에너지 효율 관리 절감 사례에 대해 공유하는 시간을 가졌다.
간담회에 참석한 업계 관계자는 “EU나 미국 등 선진국가와 글로벌 기업들의 탄소중립 선언으로 이를 이행하지 않는 공급업체는 향후 수출에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예상된다”며 “따라서 표준의 활용을 통해 업체들의 에너지 절감뿐만 아니라 수출증진에도 도움될 것”이라고 말했다.
오광해 국표원 표준정책국장은 “기업이 넷제로 에너지를 통해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궁극적으로는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가이드를 제시하고자 이 표준을 제안했다”며 “향후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에너지 효율관리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만큼 에너지 절감, 무탄소 연료 사용 등 관련 분야에 대한 표준화 및 표준 확산을 위한 활동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