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 공급이 예정된 아파트 분양 물량이 2개월 전 조사 당시에 비해 절반으로 줄어 분양시장이 안갯속에서 놓였다.
2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2월 분양예정 아파트는 전국 20곳에서 총 1만 2881가구(임대포함)에 달한다. 지난해 말 ‘2023년 민영아파트 계획물량’ 조사 당시 총 2만 5620가구가 공급예정이었지만 서울 재개발 단지와 지방 대단지 아파트위주로 분양이 연기되면서 당초 예상보다 1만 2739가구가 급감했다.

2월에는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8개 시도에서 분양에 나선다. 수도권에서는 12개 단지 총 8690가구, 지방은 8개 단지 총 4191가구가 분양을 앞두고 있다.
전국 분양 예정물량 가운데 67%가 수도권에 집중됐다. 경기는 평택, 수원, 화성 등 남부권 중심으로 공급이 예정돼 있으며 10개 단지에서 6792가구가 공급된다. 인천은 미추홀구 주안동 주안10구역 재개발 사업으로 공급하는 ‘더샵아르테(1,146가구)’ 1개 단지가 분양에 나선다. 서울에서는 은평구 역촌동 ‘센트레빌아스테리움시그니처(752가구)’가 올해 서울지역 첫 일반분양에 돌입한다.
지역별로 ▲경남 1593가구▲부산 886가구▲충북 715가구▲강원 572가구▲제주 425가구가 공급된다. 주요 단지로는 부산 강서구 강동동 ‘에코델타시티푸르지오린(886가구)’, 충북 청주 흥덕구 복대동 ‘복대자이더스카이(715가구)’, 강원 원주시 판부면 ‘e편한세상원주프리모원(572가구)’ 등이다.
건설사들은 연초 부동산 규제완화대책을 내놨지만 지속되는 고금리를 비롯해 미분양 증가, 자금조달 환경악화, 매수심리 위축 등 불안요소가 아직도 남아있어 향후 공급량 조절은 물론 추가일정 조정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부동산 관계자는 “규제완화로 청약기회가 확대됨에 따라 자금력을 갖췄다면 가격 적정성과 입지 등을 고려해 천천히 청약시장 진입시점을 저울질해도 좋을 것 같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