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민주노총 서비스연맹 마트산업노동조합(이하 마트노조)이 대형마트 의무휴업일 평일 전환을 규탄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의무휴업일 평일 전환은 마트 노동자 건강권과 휴식권을 침해하는 데 이들의 주장이다.
마트노조는 17일 오전 서울시청 앞에서 “노동자 건강권과 휴식권을 침해하는 의무휴업 평일변경을 이해당사자를 배제한 채 추진하고 있다”면서 “의무휴업제도 무력화 시도를 규탄한다”고 밝혔다.
이날 서울 시청에는 민주노총 서비스연맹 및 유통분야 단위 사업장, 시민사회 연대단체 등이 참석했다. 마트노조는 ▲의무휴업 평일변경 중단 ▲영업제한시간·의무휴업일 온라인 영업 허용 중단 등을 촉구했다.
강우철 마트노조 서울본부장은 “윤석열 정부가 추진하고자 하는 대형마트 ‘온라인영업제한’ 해제는 마트노동자들에게 장시간 노동에 내몰려 목숨을 내놓으라는 협박과도 같다”며 “더불어 한달에 두 번뿐인 일요일 휴무를 강탈하고 밤샘 노동으로 목숨을 내놓으라고 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유통산업발전법에 따라 대형마트는 2012년부터 매달 의무적으로 월 2회 일요일 휴무를 시행하고 있다. 전통시장 등 골목상권을 보호한다는 취지로 시작됐으나 지역상권 보호와 활성화에 실익이 적다는 주장이 계속 제기되면서, 지난달 시와 8개 구·군, 전국상인연합회 대구지회 등이 대형마트 ‘의무휴업일 평일 전환 추진’ 협약에 체결했다.
이에 따라 대구 지역 대형마트 의무휴업일은 2월부터 일요일에서 월요일로 바뀌게 된다. 특·광역자치단체 중에서는 대구시가 처음이다. 향후 대구시 대형마트 규제 완화 분위기가 전국으로 확산될지 관심이 집중되는 상황이다.
홍준표 대구시장은 “대구가 특·광역단체 최초로 대형마트 의무휴업일을 평일로 전환한 것은 의미가 크다”며 “지역 유통업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 기회이자 대구시민에게 공휴일 쇼핑 편익을 제공하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마트노조 등은 이해당사자인 노동자 목소리를 듣지 않은 채 휴업일 변경이 이뤄졌다면서 반대의 목소리를 높였다.
노조는 “일요일에는 쉬고 싶다는 유통노동자의 소박한 소망을 망치려고 하는 행태를 더는 가만히 둘 수 없다”며 “이 같은 간절하고 정당한 소망을 전원 단결해서 반드시 막아낼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의무휴업은 노동자 근로조건에 심대한 영향을 미치는 사안”이라며 “대구시를 포함해 전국 대다수 지자체는 이해당사자인 노동자들의 의견을 제대로 청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기자회견은 서울·인천·대전·경남·부산·경기도·대구·울산 등 9개 지역에서 동시다발로 열릴 예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