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영 중기부 장관이 소상공인 정책나눔협의회에서 발언하고 있다.출처=중기부.
이영 중기부 장관이 소상공인 정책나눔협의회에서 발언하고 있다.출처=중기부.

소상공인과 전통시장 회복을 위해 현장 목소리를 청취하기 위한 공유의 시간이 마련됐다.

중소벤처기업부는 지난 14일 세종청사에서 소상공인을 대표하는 5개 협회·단체장들과 소상공인 정책나눔 협의회를 개최했다.

이영 중기부 장관은 “코로나19 팬데믹과 최근 금리인상 등 어려운 환경에서 소상공인들이 위기를 극복하고 재도약하도록 뒷받침하는 것이 중기부의 시대적 사명”이라고 말했다.

이어 “손실보전금 등 조치를 신속히 집행하고 재창업·재취업 등 추가적인 방안들을 업계와 고민하는 한편 디지털 소상공인 또는 기업가형 소상공인 성공모델을 연말까지 창출하겠다”고 덧붙였다.

오세희 소상공인연합회장은 ▲코로나19로 인한 피해회복과 재기방안 마련 ▲최저임금의 업종별·지역별 차등적용 ▲추가연장 근로 허용을 통한 근로시간 유연화 등을 건의했다.

정동식 전국상인연합회장은 전통시장 장보기 환경구축의 필요성을 제안한 것을 비롯해 전강식 한국외식업중앙회장은 소상공인에 대한 채무조정 등 금융지원 물론 민간 협회·단체를 통한 업종별 맞춤형 특화교육 실시를 주문했다.

정현식 한국프랜차이즈산업협회장은 중소프랜차이즈의 지식재산 창출·보호정책 및 글로벌 시장진출 지원을 건의하는 한편 송유경 한국수퍼마켓협동조합연합회장은 전국 35개 중소유통 공동도매물류센터의 연계 통합전산망 구축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중기부는 소상공인의 최저임금 및 중대재해처벌법 등을 공론화하는 한편 소상공인의 정책 제언과 관련해 오는 7월에 발표할 ‘소상공인·자영업자 경쟁력 강화대책’ 에 반영한다는 구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