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리뷰=세종 윤국열 기자]농촌진흥청과 특허청은 농업ㆍ지식재산 분야 융합 공적개발원조를 위해 맞손을 잡았다.

농진청과 특허청은 지난 21일 정부대전청사에서 농업기술과 지식재산 분야 융합 공적개발원조 협업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2일 밝혔다.

농촌진흥청과 특허청은 21일 정부대전청사에서 지식재산 나눔사업과 해외 농업기술개발사업 연계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출처=농진청.
농촌진흥청과 특허청은 21일 정부대전청사에서 지식재산 나눔사업과 해외 농업기술개발사업 연계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출처=농진청.

이번 업무협약의 목적은 농촌진흥청의 해외농업개발사업과 특허청의 지식재산 나눔사업을 연계해 개도국 농업인들에게 농업 생산물의 사업화 기회를 제공함은 물론 소득증대와 경제적 자립 기반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에 농촌진흥청은 22국에 KOPIA 센터를 운영하고 있는 가운데 KOPIA 센터를 활용해 수원국에 적합한 농업기술을 발굴해 보급한다는 구상이다.

특허청은 농촌진흥청 기술로 생산된 농산물을 국내 특허정보를 활용해 가공기술을 제공하는 동시에 가공제품의 판매와 상품화를 지원할 예정이다.

양 기관은 상호 전문성를 결합해 농업분야 융복합 협업사업을 추진함으로써 지식재산 활용 및 농업의 가치사슬 확장에 집중한다는 계획이다.또 농업기술 교육부터 농산물 가공기술과 판매를 위한 상품화까지 일괄 지원되면 농산물 생산성이 향상돼 현지 농업인들의 소득이 증가할 것으로 기대된다.

박병홍 농촌진흥청장은 “농촌진흥청과 특허청간 이번 업무협약은 농업ㆍ지식재산 분야의 공적개발원조 사업발전에 기대가 크다”면서 “특허청과 협력해 개발도상국 농가의 실질적인 소득증대와 농촌경제의 안정에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김용래 특허청장은 “양 기관이 오랜 기간에 걸쳐 축적해 온 전문성을 활용해 사업의 동반 상승효과가 기대된다”면서 “농업기술과 지식재산의 연계를 통해 개도국 현지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모델을 확대하겠다”라고 밝혔다.